비참한 최후 또는 복지단체로 기증

대부분 폐기처리… 비용은 수량 많은 상표권자가 부담

최근 수백억원대 짝퉁 가방 등을 제조해 판매한 업자들이 경찰에 잇따라 적발되면서 짝퉁 명품들의 처리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 짝퉁 압수물 어떻게 처리되나?

경찰과 세관 등에 적발된 짝퉁 명품들은 대부분 폐기업체를 통해 부서지거나 찢기고 소각되는 등 비참한 최후를 맞는다. 하지만 일부 짝퉁은 오명을 벗고 진정한 명품으로 태어나는가 하면 짓궂은 운명을 아름다운 희생(?)으로 마감하는 사례도 종종 있다.

 

경기청 외사범죄수사대는 지난 4일 해외 유명상표를 도용한 가방과 지갑, 시계 등을 판매한 업자를 구속하면서 정품싯가 300억원대 짝퉁 2천400여점을 압수했다.

 

압수된 짝퉁 명품은 사단법인 무역관련지식재산권보호협회 소속의 폐기물 처리 업체에 보관된 뒤 검사의 지휘를 받고 용광로 속으로 들어가 소각된다.

 

폐기업체 선정과 처리비용은 압수물품 중 수량이 가장 많은 상표권자가 통상적으로 부담하게 된다.

 

경찰은 짝퉁의 추가 유출을 막기위해 압수물품 내역서를 작성해 검사에게 보고한 뒤 폐기처리 과정을 사진으로 찍어 남기도록 하고 있다.

 

또 인천본부세관이 지난해 폐기한 짝퉁과 농산물, 도검류 등은 182t에 달한다.

 

세관이 압류한 물품들은 대부분 폐기처리되지만 의류와 신발 등은 상표권자의 동의가 있으면 상표를 제거한 후 검사의 지휘를 받아 복지단체 등에 전달하고 있다.

 

경기청 관계자는 “정품과 구분할 수 없을 정도 정교한 짝퉁 물품들이 폐기되는 모습을 보면 아깝다는 생각이 든다”며 “활용 가능한 압수물품에 대해 환경오염을 줄이고 자원 아끼는 차원에서 재활용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원재기자 chwj74@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