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도 인터넷 중독 예방교육

2012년까지 1000만명 대상 실시…게임도 오래할수록 재미없게

최근 인터넷 중독현상에 대해 사회적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오는 2012년 인터넷 중독률을 5%이하로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아동·청소년·성인 등 모든 연령에 대해 포괄적 대응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행정안전부 등 7개 관련부처는 15일 이런 내용의 '인터넷 중독 예방 및 해소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정부는 기존 연간 47만명(만9~39세, 인터넷 이용자의 2%)에 불과하던 예방교육을 오는 2012년까지 500만 명(3년간 총 1000만명)으로 대상을 대폭 확대한다.

 

특히 최근 중독이 급격히 확산되고 있는 저 연령층 및 성인에 중점을 두고 유치원과 초등 저학년, 군 장병, 직장인 등에 대한 예방교육도 신설한다.

 

상담과 치료를 대폭 강화해 무료상담 대상자를 현재 2만5000명에서 2012년까지 20만명(전체 수요자의 10%)으로 늘리는 등 3년간 총 30만명에 대해 체계적인 맞춤상담을 진행할 방침이다.

 

중독의 위험 정도에 따라 '기초상담→전문상담→병원치료' 등 단계적 전문상담을 실시하며, 실업자와 한 부모 가정 자녀, 저소득층, 장애인 등 인터넷 중독 취약계층을 상대로 가정방문상담을 집중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정부는 또 인터넷 이용 시간·요일 등을 이용자나 보호자가 미리 조절할 수 있는 '자율적 셧 다운(Shut down) 프로그램'을 개발해 보급하기로 했다.

 

인터넷 게임을 오래할수록 게임의 재미를 반감시켜 이용자가 스스로 게임을 그만두도록 유도하는 '인터넷게임 피로도 시스템'도 내년부터 무료로 제공한다.

 

행안부가 지난 2008년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인터넷 중독자 수는 200만명(8.8%)에 육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만 9~39세 인터넷 이용자(2259만9000명)중 중독자는 199만9000명이고, 중증 인터넷 중독인 고위험 사용자군이 36만6000명(전체 중독자의 18%)에 이른다.

 

이중 아동·청소년 중독자는 103만5000명로 전체 중독자의 5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성인층 중독자의 점유율도 지난 2004년 30.5%에서 2008년 48.2%로 급증세를 타고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