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부 대형 마트에서 애완동물을 판매하기 시작한 건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우선 많은 사람들이 붐비는 공간이어서 비위생적이다. 판매코너에 수 많은 동물들을 진열해 놓거나, 비늘색이 변할 정도로 어항에 물고기를 집어 넣은 것도 미관상 흉하다. 가정에서 애완동물을 사육하는 가구가 400만 세대에 달하고, 해당 동물 수가 500만 마리를 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대형 마트에서까지 애완동물을 판매하는 건 적절치 않다.
다양한 동물이 있는데도 직원을 많이 고용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청결하게 관리하지 않으면 동물이 질병에 쉽게 노출된다. 이런 동물들을 손님들이 쉽게 접촉하는 것은 공중보건상 위험하다. 햄스터나 토끼 등도 사람처럼 고통을 느끼는데도 정확한 사육정보는 주지 않는 채 ‘쉽게 기를 수 있다’는 식으로 판매해선 곤란하다. 마트 직원은 동물에게 어떤 주사를 맞혀야 하는 지도 잘 모른다. 이렇게 팔린 애완동물은 죽을 위험이 높다. 동물을 일반 상품처럼 쉽게 사고파는 분위기 탓에 생명경시 풍조가 커진다.
마트 안에서의 동물 학대 사례는 많다. 때가 낀 우리 안의 동물들이 축 늘어진 채 기운이 없거나 ‘만지지 마시오’라는 경고 문구가 있지만 직원 1명이 넓은 매장을 지켜 접촉을 제지하지 못한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키우면 되느냐는 질문에 “적당히 주사 맞히고 먹이 잘 주면 된다”고 답할 뿐이다. 동물 기르는 방법도 모르면서 무조건 팔고 보자는 식이다. 현실이 이러하지만 관련 법규가 없어 당국이 제재하기가 힘들다.
동물보호법상 ‘외부에 노출돼서는 안 되고 채광 및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격리실은 전염성 질병이 다른 동물에게 전염되지 아니하도록 설치돼야 한다’는 등의 내용이 담긴 시행규칙이 있지만 처벌 규정이 없어 유명무실하다. 보통 물리적 폭력을 가할 때만 학대로 보지만 동물의 스트레스 등 정신적 폭력도 학대로 보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애완동물 판매 관리 기준을 강제력이 있는 규정으로 바꿔야 한다. / 임병호 논설위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