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가루 날리는 봄 ‘알레르기’ 괴로우시죠”

재채기에 콧물 줄줄… 기관지천식까지

늦게까지 이어지던 꽃샘추위가 물러나고 이번 주부터는 평년 기온을 회복하고 완연한 봄이 찾아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새싹이 돋아나고 만물이 소생하는 봄을 맞아 겨우내 움츠렸던 기운을 벗어내고 산과 들로 나들이를 계획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알레르기성 질환을 겪고 있는 환자들에게는 이런 봄이 오히려 괴롭고 고통스럽기만 하다. 봄철 알레르기성 질환을 효과적으로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알아본다.

 

4·5월은 꽃가루 절정, 알레르기 주의보

각종 나무에서 나오는 꽃가루는 3월부터 날리기 시작해 4월과 5월에 절정을 이룬다. 대표적인 나무로는 오리나무, 자작나무, 참나무, 버드나무, 소나무, 포플러 등이 있다. 꽃가루는 대도시보다 농촌지역에서 증가하며 환자수도 이에 비례한다. 버드나무에서 나오는 솜털과 같은 씨주머니는 실제로 알레르기를 직접 유발하지는 않으나 기관지천식 환자들의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눈, 코, 기관지 점막에 예방약 뿌려 치료

감기나 독감은 발열, 인후통, 전신통증, 기침, 객담, 콧물 등이 수반된다. 알레르기에 의한 증상이 코에 생기면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재채기를 계속하고, 수도꼭지를 틀어 놓은 것 같이 맑은 콧물이 줄줄 흐르며, 코가 막히기도 한다. 기관지천식의 증상으로는 기침, 객담, 호흡곤란, 쌕쌕거림을 호소하게 된다.

 

이 밖에 눈이 충혈되거나 가렵기도 하고,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두드러기가 생기기도 한다. 알레르기 질환의 하나인 건초열은 호흡기 증상과 감기몸살 증상이 함께 나타난다.

 

알레르기성 호흡기 질환은 특징적인 증상과 계절에 따른 뚜렷한 차이로 인해 진단이 어렵진 않다. 알레르기 질환이 의심되면 피부반응검사, 항체검사 등을 통해 원인 알레르겐을 찾아 제거하고 증상 치료를 병행한다.

 

꽃가루 알레르기는 대기 중의 꽃가루를 모두 제거할 순 없어 생활 터전을 옮기지 않는 한 근본적인 원인 치료는 안된다. 이때는 꽃가루가 날리기 약 2주 전부터 눈과 코, 기관지 점막에 예방약을 뿌려 치료한다.

 

심한 알레르기인 경우 면역주사로 치료가 가능하지만 대부분 4~5년에 걸쳐 장기치료를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노약자, 아이는 봄철 외출 자제해야

분진이 날리고 오존 농도가 높아지는 3∼4월 전후에는 야외운동을 줄이는 게 바람직하다. 사람은 휴식 상태에서 하루 1만ℓ의 공기를 호흡하는데 운동을 하게 되면 더 많은 공기를 호흡하기 때문이다.

 

부유분진과 아황산가스 등 자동차 배기가스는 오전 6시를 기준으로 서서히 오염농도가 올라간다. 아황산가스는 오전 8~10시, 부유분진은 오전 9~11시, 오존은 오후 2~4시 사이에 하루 중 농도가 가장 높다.

 

대기 상황만을 고려한다면 강수량이 많아 분진이 적게 날리고 대기 순환이 잘되는 여름과 가을철이 운동하기에 가장 좋은 계절이다.

 

황사현상 및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특별한 대비책은 없다. 따라서 노약자, 어린이, 흡연자, 오염된 환경에서 일하는 생산직 근로자, 호흡기 및 알레르기 질환을 앓았던 사람은 각별히 건강에 주의해야 한다. 노약자와 유·소아는 봄철에 외출을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외출 후에는 반드시 노출 부위를 깨끗이 씻는 것이 필요하다.

 

<도움말=정기석 한림대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오상용 한림대 한강성심병원 산업의학센터 교수> 

 

/윤철원기자 ycw@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