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50대 후반 베이비부머들 10명중 7명 부모 생활비 책임져
현재 40대 후반에서 50대 후반인 베이비붐 세대들은 부모 모시기에 장성한 자녀들의 뒷바라지에 허덕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비붐 세대란 1955년에서 1963년 사이에 태어난 이들(현재 나이 47~55세)로,6.25 전쟁이 끝난 직후 출산율이 이전보다 크게 높아지던 시기에 태어나 급격한 경제성장과 1997년 외환위기, 최근의 글로벌 금융위기까지 모두 경험했다.
현재 인구의 14.6%를 차지하며, 올해부터 본격적인 은퇴가 시작될 것으로 전망된다.
통계청이 11일 발표한 '2008~2009년 사회조사를 통해 본 베이비붐 세대의 특징'에 따르면 베이비부머들은 본인이 원하는 만큼 학교교육을 받지 못했지만 자녀 교육만은 자신이 책임지고 시켜야 한다는 생각이 강했다.
조사에서 베이비붐 세대 중 자신이 원하는 단계까지 교육을 받지 못했다고 생각하는 이들은 64.2%로, 전체 평균 60.1%보다 높았다.
사유로는 경제적 형편이79.2%로 압도적 비중을 차지, 성장기의 어려운 경제사정 때문에 학업을 포기한 사람이 적지 않았음을 보여줬다. 성별로는 남자(58.8%)보다 여자(69.5%)가 10%포인트 이상 높았다.
이 때문인지 자녀의 대학교육비 지원에 대해 베이비부머는 99.1%가 지원해야 한다고 대답해 전체 평균(98.6%)보다 높았다.
특히 부모가 전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응답률은 68.5%로 전체 평균(61.9%)을 크게 웃돌았다.
하지만 응답자의 83.1%는 자녀교육비가 소득에 비해 부담이 된다고 답해 30세 이상 가구주 평균(79.8%)보다 높았다. 베이비부머가 상대적으로 등록금이 비싼 대학생 자녀를 많이 두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베이비부머들의 90.0%는 자녀 결혼비용까지 지원해야 한다고 답했다.
◈ 부모 모시기도 베이비붐 세대 몫
베이비부머 가구주의 부모 중 생활비를 스스로 해결하는 이들은 30.8%에 불과했다. 베이비붐 세대의 10명중 7명은 부모 생활비까지 책임지고 있다는 뜻이다.
생활비 제공방식은 모든 자녀가 분담하는 경우가 33.6%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장남 또는 맏며느리(18.8%), 아들 또는 며느리(13.9%), 딸 또는 사위(2.4%) 순이었다.
베이비붐 세대의 가족관계 만족도는 전체 평균에 못미쳤다. 배우자 만족도와 자녀 만족도는 각각 62.6%, 71.7%로 전체 평균 65.7%, 72.7%에 미달했다. 배우자 부모에 대한 만족도는 45.9%였고, 배우자 형제.자매의 경우 39.6%에 불과했다.
노후 준비를 하고 있다고 응답한 베이비부머는 80.0%였다. 학력이 높을수록 준비비율이 높아지면서 대졸은 10명 중 9명이 준비하고 있었지만 초등학교 졸업 이하는 6명 꼴에 그쳤다.
노후준비 방법으로는 국민연금이 38.5%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예금.적금(24.3%), 사적연금(19.5%), 기타 공적연금(7.1%) 순이었다.
노후 대비를 하지 않고 있는 경우는 20.0%는데 이 중 50.3%는 능력이 없기 때문이라고 답했고 39.8%는 앞으로 준비할 계획이라고 했다.
80.0%가 노후 준비를 하고 있다고 응답했지만 향후 소득수준이 같거나 감소할 것으로 생각하는 비율은 69.5%였다.
◈ 61%, 나는 중산층 이상
베이비붐 세대 가구주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의식은 '중간층 이상'이 61.6%로 전체 가구주(57.6%)보다 높게 나타났다.
직업 선택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으로는 베이비붐 세대의 73.8%가 수입과 안정성을 선택해 15세 이상 인구 전체(66.7%)보다 높았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