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수도硏 분석 비소·납·수은 국외 기준치 모두 초과"
4대강 사업 준설작업으로 나온 한강퇴적토의 중금속 오염이 정부측 주장보다 심각해 수도권 식수오염을 초래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민주당 김진애 의원은 10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수자원공사가 지난 1월 29일 한강 강천보의 퇴적토를 채취해 한국환경수도연구원에 의뢰해 분석한 결과 비소,납,수은이 국외 기준치를 모두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국내에는 하천 오니토에 대한 준설기준이 마련돼 있지 않아 'Great호 퇴적물 오염정도 분류기준','미해양대기청 환경권고치'.'캐나다 몬타리오 환경부 퇴적물 환경기준'등 세가지 해외기준을 병용하고 있다.
그런데 한강 강천보 퇴적토에서는 비소,납,수은등 인체에 치명적인 중금속들이 세가지 해외기준치들을 모두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
비소의 경우 표층에서 심층에 이르는 모든 퇴적토에서 세가지 오염기준치를 초과했으며 납은 표층토에서, 수은은 심층토에서 3개기준치를 모두 초과하는 오염도를 나타냈다.
조사결과 심층토에서 중금속인 비소와 수은의 오염이 표층토보다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 준설이 계속될 경우 환경오염이 더욱 심각해질 것이라는 우려가 타당성을 얻고 있다.
김 의원은 "이번 조사결과로 하천 오염퇴적토 준설이 국내외 기준을 초과하지 않으며 아무런 문제가 없다던 국토해양부의 주장은 거짓임이 밝혀졌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현재와 같이 하천퇴적토를 무분별하게 준설할 경우 수도권의 식수원인 한강도 비소,수은,납 등 맹독성 중금속에 의해 오염될 수 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김진애 의원은 "정부는 오염퇴적토에 대한 준설기준이 없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는 터무니 없는 주장을 중단하고 합리적인 준설기준을 마련해야 할 것이며, 즉각 4대강 사업을 중단하고 오염퇴적토에 대한 정밀조사를 실시해야한다"고 지적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