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천 물고기 '서울시가 사들여 방류' 논란

환경단체 "서울시, 국민 속여", 서울시 "의도적 방류 없었다"

서울시는 지난 2월 4일 '청계천 동식물, 복원 전보다 8배 늘었다!'라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냈다.

 

'가장 큰 변화가 어류와 조류에서 나타났다'고 강조한 이 보도자료에 따르면 청계천 복원 전인 2003년 4종에 불과하던 어류가 지난해에는 무려 7배에 가까운 27종으로 늘었다.

 

'물속 플랑크톤이 증가하면서 이를 먹이로 하는 어류가 한강이나 중랑천에서 올라와 청계천에 정착하는 한편, 청계천이 생물들의 서식처로 기능 함에 따라 어종이 급증했다'는 게 서울시 설명이다.

 

갈겨니도 청계천 복원 후 관찰되는 물고기 가운데 한 종류다.

 

그런데 갈겨니는 서울시 설명대로 '생태적 복원으로 물길이 열리면서, 한강이나 중랑천에서 올라와' 청계천에 나타나는 게 불가능한 물고기다.

 

'섬진강 계열'로 분류되는 갈겨니는 한강이나 중랑천에는 살지 않기 때문이다.

 

한강이나 중랑천에 살지 않는 갈겨니가 어떻게 청계천에서 발견되는 것일까?

 

환경운동연합은 23일 "서울시가 갈겨니를 사들여 인위적으로 청계천에 방사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한 근거로 환경운동연합은 서울시가 2006년 4월 충남 지역의 한 민물고기 판매업자로부터 갈겨니 50여 마리를 산 사실을 제시했다.

 

환경운동연합은 '갈겨니뿐만 아니라 돌고기와 줄납자루 등 청계천에서 발견되는 다른 물고기 역시 인위적 방류로 개체 수를 유지하고 있다'는 의혹까지 제기했다.

 

'청계천은 지나치게 유속이 빠르고, 먹이가 되는 수서생물도 희박해 물고기들이 지속적으로 살아가기에 아주 열악한 환경'이라는 게 환경운동연합의 주장이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의도적으로 청계천에 물고기를 방류한 사실은 전혀 없다"고 반박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방류 논란의 핵심인 갈겨니에 대해 "이미 2005년 말 시민의 방류에 따른 것으로 보이는 갈겨니가 발견돼 '무단 방류 자제'를 당부한 바 있다"고 말했다.

 

'지금 청계천에 살고 있는 갈겨니는 시민이 무단 방류한 개체들이 적응한 결과일 뿐, 서울시는 관련이 없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서울시가 2006년 4월 충남 지역 업자로부터 갈겨니를 산 이유를 "갈겨니를 포함해 2005년 청계천에서 발견된 물고기 약 10종을 생태학습장과 수조에 전시하기 위해서"라며 "방류를 위한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청계천에서 인위적 방류 등 외부 개입 없이 자생적으로 서식할 수 있는 물고기는 10종에서 15종 정도다.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 이완옥 박사는 2010년 한국어류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에서 "청계천 서식 어류 대부분이 인위적으로 방류된 외래종"이라고 지적했다.

 

이완옥 박사는 그러나 환경단체처럼 인위적 방류 주체로 서울시를 지목하는 데는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외래종 중 상당수는 금붕어와 비단잉어 등 '서울시가 종수를 늘리기 위해 의도적으로 방류했다'고 여기기에는 너무 허접스러운 것들"이라는 설명이다.

 

하지만, 이 박사는 "갈겨니는 분명히 누군가 의도적으로 방류했을 가능성이 있다"며 "환경단체가 의심할 만한 이유는 충분하다"고 말했다.

 

환경단체와 서울시 간 '청계천 물고기 방류' 논란과는 별도로 '청계천 복원 성과를 과대포장했다'는 비난을 서울시가 피할 수는 없을 전망이다.

 

서울시가 의도했든 안 했든, 청계천 어종 급증은 상당 부분 인위적 방류에 따른 것인데도, 전부 청계천이 생태적으로 복원돼 나타난 결과처럼 홍보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기 때문이다.

 

앞서 서울시는 2008년 10월에도 "참종개 등 우리나라 고유종 물고기 4종이 청계천에 새로 등장했다"고 밝혔다.

 

이를 알리는 보도자료는 어김없이 '2급수 이상의 깨끗한 물이 흐르면서 물속에 사는 플랑크톤들이 많아지고 이를 먹고사는 어류들이 중랑천에서 거슬러왔다'는 문구로 장식됐다.

 

그러나 청계천에 새로 등장한 고유어종 참종개의 출처는 중랑천이 아니라, 그해 5월 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가 청계천에 방류한 참종개 5,000마리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