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목 수거대책

임병호 논설위원 bhlim@ekgib.com
기자페이지

산림청은 올해 360만㎡ 가량의 원목 생산을 계획하고 있다고 한다. 2009년엔 약 318만㎡의 원목이 생산됐다. 하지만 원목 생산시 발생되는 나뭇가지, 단목(短木) 등 벌채부산물이 3분의 1에 달한다. 이것이 산속에 그대로 버려진다.

 

원목을 생산할 때 나오는 잔가지 등은 상품가치보다 수거 투입비용이 훨씬 많아 임지(林地)에 버려진다. 매년 벌채가 진행됐음을 감안하면 수백만, 수천만㎡의 임지잔재가 산속에 방치돼 있는 셈이다. 그린밸트 해제로 인한 각종 개발과 골프장 건설 때 나오는 양까지 합하면 더 많다.

 

문제는 산속에 방치된 임지잔재다. 산불발생과 산불확산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큰 비가 오면 산밑으로 쓸려 내려오기도 한다.

 

나무를 다시 식재할 면적의 15% 이상을 잠식하여 중장기 산림자원 육성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임지잔재도 정부 예산을 투입해 산밑까지 수거하기만 하면 재활용이 가능하다.

 

산아래에서 고성능 이동식 파쇄장비를 할용해 목재칩이나 톱밥으로 만들면 파티클보드업계나 연료로 사용하는 업계, 축산농가 깔개용, 농가 유기질비료용 등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산에 방치된 폐목재를 활용하면 12%에 머물고 있는 국내 목재자원 자급률을 높일 수 있다. 만성적인 원재료 부족에 허덕이고 있는 목재나 제지, 신재생에너지 업계의 원료 공급도 원활히 할 수 있다.

 

현재 총 5개의 신재생 에너지 업체가 가동되고, 파티클보드업계 생산물량이 증대됨에 따라 지난해 20만t 정도가 부족했지만 올해는 54만t이 부족할 전망이다.

 

한 그루의 나무가 목재로 쓰이려면 최소한 15년은 걸린다. 귀중한 나무가 베어진 이상 손실 없이 사용되기 위해선 폐목재를 다시 물질로 재활용해 쓸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 폐목재 재활용은 나무 심기 만큼 중요하다.

 

부족한 목재자원의 공급 확대와 소중한 산림 자원이 버려지는 것 없이 알뜰하게 이용되기 위해선 우리나라도 임지잔재 수거를 위한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 일본을 비롯한 선진국은 벌목 후의 임지잔재 수거비용을 정부가 지원한다.  / 임병호 논설위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