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 끝나자 빈 사무실 다시 넘쳐…

불투명한 경제 사정에 사무실 축소·통합바람 겹쳐 도심지역 공실률 치솟아

경기도내 주요 도심지역이 빈 사무실로 몸살을 앓고 있다.

 

지난 6·2 지방선거로 반짝 특수를 누렸던 사무실들이 새 주인을 찾지 못한데다 불투명한 경제사정에 업무 공간 축소 및 통합바람까지 불면서 공실이 늘고 있는 것이다.

 

21일 도내 공인중개사무소와 건물주 등에 따르면 지방선거 이후 새로운 세입자를 찾지 못한 사무실이 대부분으로 공실률이 늘어나면서 빌딩시장의 침체로 이어지고 있다.

 

이번 선거에서 예비후보 선거사무소로 활용된 수원시 권선구에 자리잡은 100㎡ 규모의 사무실은 1번 국도변 코너에 위치, 교통여건이 유리하다는 장점에도 불구, 두달째 비어 있다.

 

이와 함께 인근에서 같은 용도로 사용된 사무실 대부분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이처럼 선거바람에 휩싸여 인기를 끈 주요 도로변 사무실이 선거이후 90% 가량이 텅 비어 있다는게 부동산 관계자의 설명이다.

 

또 수원 인계동에 위치한 J빌딩내 사무실 2개(196㎡)는 약도매상 등이 사용하다 경기불황으로 폐업한 지난해 12월 이후 세입자를 찾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경기 회복세를 느끼지 못한 개인 사업자들이 사무실을 축소 및 통합하는 경우도 늘어나 공실률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수원 곡반정동 S빌딩은 2층부터 5층까지 사용하던 D학원이 경영난으로 2층(215㎡)을 비운 후 6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주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 특히 건물주는 임대료를 300만원에서 200만원으로 낮췄지만 반응이 전혀 없는 상태다.

 

또 성남시 정자동에서 165㎡의 사무실을 사용해 오던 S업체는 건물주가 월임대료를 갑작스럽게 인상하자 공간을 대폭 줄여 인근 사무실로 옮기기로 결정하는 등 대규모 사무실 인기가 급하락하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도내 부동산 전문가들은 2~3개월 걸리던 공실 기간이 6개월~1년으로 늘어나고 장기간 세입자를 찾지 못한 매물이 쌓이면서 공실률이 20%에 육박할 것으로 내다봤다.

 

수원 N부동산 관계자는 “경기가 위축돼 빈 사무실과 임대 현수막이 없는 건물이 없을 정도”라며 “1년 이상 비어있는 매물만 수십여건으로 오피스 경기는 IMF 이후 최악”이라고 말했다. 

 

/이지현기자 jhlee@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