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도에서 느껴지는 타는 듯한 통증의 정체는?

잦은 음주와 흡연, 서구화된 식생활로 인해 위장장애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 가운데 속 쓰림과 가슴이 타는 듯한 통증 등이 나타난다면 역류성 식도염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역류성 식도염은 위산 또는 위액이 역류해 식도를 자극하여 궤양이나 미란 등의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목에 무언가 걸려있는 느낌이나 속쓰림, 가슴이 타는 듯한 통증, 신물 올라옴 등이 주요 증상이다. 이 밖에도 음식물을 삼키기 어려워지고 마른기침, 목쉼, 인후두 불편감을 호소하기도 한다.

 

이러한 역류성 식도염은 주로 위와 식도 사이에 있는 하부식도 괄약근의 문제로 발생한다. 식도 괄약근의 조이는 힘이 약해지면 위 속 내용물이나 위산이 식도로 역류해 식도 점막을 자극하게 되는 것이다.

 

치료를 하지 않으면 식도 협착 등과 같은 합병증이 나타날 수도 있고 식사나 수면 시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구취가 심해지기도 하며 후두염이나 천식, 식도암의 위험인자로 알려진 바렛식도가 발생할 수도 있다.

 

역류성 식도염은 내시경 검사로 진단하며 생활습관 개선 등의 비약물적 치료, 위산의 분비를 억제하는 약물이나 제산제 등을 사용해 치료를 실시한다. 그러나 증상이 호전되지 않거나 합병증이 동반된 경우 식도확장술 등과 같은 수술적 방법이 고려되기도 한다.

 

역류성 식도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선 식습관의 개선이 필요하다.

 

고지방 음식은 식도괄약근을 느슨하게 만들고 위산 분비를 촉진하기 때문에 피하고 대신 살코기, 흰살 생선, 조개류, 저지방 우유 등과 같은 저지방 단백질 식품을 섭취한다.

 

또한 향이 강한 음식이나 밀가루 음식, 커피, 탄산음료, 고춧가루, 후춧가루, 마늘, 식초 등 자극적인 음식이나 쥬스류의 섭취도 가급적 삼간다.

 

과식은 위산 분비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피해야 하며 금주와 금연이 중요하며 비만인 경우 자신에게 적합한 운동을 통해 체중조절을 해야 한다.

 

음식을 먹고 난 후 바로 눕지 말고 취침 시 베개나 쿠션, 이불 등을 이용해 상체 부위를 약간 높게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