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8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몸살을 앓고 있다. 정세균 대표 중심의 당권파와 정동영, 천정배, 추미애 의원 등이 연대한 쇄신파의 기싸움이 날로 거세다. 쇄신파는 당명만 빼고 모두 바꿔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에 당권파는 정세균 체제를 고수하는 입장이다.
새천년민주당에서 열린우리당 분당 등 또 민주당으로 전전하면서 노무현 전 대통령이 소속당으로 당선됐던 새천년민주당을 탈당, 노 전 대통령의 선거빚만 잔뜩 떠안기도 했던 민주당이다.
지금의 민주당에선 김대중 전 대통령 계열의 동교동계는 찾아볼 수가 없다. 한동안 세를 떨쳤던 권노갑 한화갑 전 의원 등 ‘양갑’을 비롯한 동교동계는 당내에서 사라졌다.
다만 김 전 대통령의 각별한 총애를 받았던 박지원 의원만 원내대표로 있을 뿐이다. 이를 가리켜 “민주당에 진짜 민주당은 없다”고 말하는 이들이 있다. 실제로 지난 6·2 지방선거에서 옛날 민주당 사람들은 대부분 공천을 받지 못했다. 또 어떤 사람은 “정동영을 따라 다녔다”는 이유로 공천이 배제되기도 했다.
작금의 이런 상황에서 전당대회를 앞두고 있다보니 당권 다툼을 둔 싸움이 치열하고 미묘하게 돌아가는 것은 불가피한 사실이다. 전당대회에서의 전당원 투표제 문제를 두고도 당권파는 “경선 후유증이 너무 크다”며 반대하는 반면에 “전 당원 참여를 봉쇄한 체육관 전당대회 계속은 부당하다”는 것이 쇄신파의 반박이다. 이번 전당대회는 2012년 대통령선거와도 무관하지 않아 저변이 더 복잡하다.
민주당이 이번 전당대회를 계기로 필요한 것은 당의 명확한 독자노선이 뭣인가를 밝히는 것이다. 예컨대 국민참여당과 함께 민주당이 노무현 전 대통령을 정치적 ‘중시조’로 삼는 것은 술수적 혼선이다. 민주당안의 노무현 사람과 민주당밖 국민참여당의 노무현 사람과 어떻게 다른가도 설명돼야 한다.
보수와 진보를 오락가락했던 민주당이 진보정당으로 진로를 정했다면, 이점 또한 국민사회에 분명하게 피력돼야 한다. 대북관계의 종북성향 역시 확실한 해명이 요구된다. 진보정당이라도 좋다. 민주당이 나라의 정체성을 존중하는 공당으로 탈바꿈할 때, 비로소 진정 국민의 지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임양은 주필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