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학교 현장이 어쩌다가 이 지경이 됐는 지 심히 걱정스럽다. 참교육학부모회가 격년으로 발간하는 ‘교육상담사례집’ 최근 내용은 믿고 싶지 않은 심정이다. 설마 그러랴 싶은 사례가 너무 많아서다. 도무지 용납 안 되는 비상식적·비교육적인 일탈 행위들이다.
학부모의 가장 큰 고민은 ‘교사 자질문제’다. 교육적 체벌을 빙자해 자행되는 신체적·정신적 폭력이 근절되지 않아서다. 몽둥이로 아이들 머리를 때리는 교사가 있다면 누가 믿겠는가. 요즘 들어 더욱 심해진 성추행도 심각하다. 여고 담임 교사가 여학생을 암암리에 성추행해 왔다는 학부모들이 주장이 적잖다. 해당 교사 처벌을 학교측에 요청했지만 ‘조작이다’ ‘학생이 선생님을 사랑해 빚어진 일’이라고 발뺌하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초등학교에 갓 입학한 아이의 부모에게 담임 교사가 자주 전화를 걸어 ‘아이가 이상하다’ ‘하루도 혼나지 않는 날이 없다’고 말해 걱정을 주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촌지를 주면 그런 전화가 끊긴다는 게 학부모들의 얘기다. 한 고등학생의 호소는 대표적인 인권 모욕이다. 집이 가난해 급식비나 학교 운영비가 밀릴 때가 많은데 그러면 담임 교사가 학생들 앞에서 ‘네가 돈 제대로 낸 적 있어’하고 면박을 준다고 한다. 노골적으로 자퇴를 강요하는 교사 때문에 ‘죽고 싶다’는 학생들도 많다.
학교운영위원회·불법찬조금·비리·급식 등의 ‘학교문제’도 학부모들을 괴롭힌다. 특히 학교 급식법이 개정돼 직영급식이 의무화되면서 위탁급식을 강요하는 학교장의 태도, 직영급식을 반대한다는 허위 서명 강요 등은 주목할 사례들이다.
2008년 정부가 4·15 학교자율화 조치를 발표한 이후 학교운영에 대한 대부분의 권한이 학교장에게 독점되면서 일부의 경우 학운위를 통한 합의와 조정이 어려워진 건 사실이다. 교육계에선 참교육학부모회의 ‘교육상담사례집’이 가해교사와 학교측 반론 등 일부 요건을 갖추지 못했다고 비판하지만 그러나 교육 당국의 교육비리 척결, 부적격 교원 퇴출 작업에도 불구하고 100% 개선되지 않은 것은 사실이다. 대다수 교사의 명예를 추락시키는 문제교사들의 자성이 요구된다. /임병호 논설위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