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단위 입주물량 적체·신도시 개발 여파 과천, 올해 상승률 비교 11%p 급락 최대
올해 들어 일산과 과천, 분당 등 경기지역의 집값이 큰 폭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5년간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던 이들 지역은 신규물량 적체와 신도시 개발 등의 영향으로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21일 KB국민은행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월) 집값 상승률이 고양 일산서구(-3.8%), 과천(-3.0%), 성남 분당구(-2.9%), 용인 기흥구(-2.8%) 등의 순으로 전국 최하위권를 기록했다.
이 지역들은 최근 5년간(2005∼2009년)의 추세와 비교하면 더욱 큰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과천시의 경우 최근 5년간 평균 집값 상승률이 8.0%에 이르러 올해 상승률과 비교하면 무려 11.0%P나 하락했다.
이는 과천시 재건축 용적률 하향 조정 발표로 매수심리가 크게 위축된 분위기를 고스란히 반영한 것이다.
과천은 지난 2005년과 비교해 집값 상승률이 적게는 수천만원에서 수억원대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이밖에 성남 분당구는 올 상반기 최근 5년 평균 집값 상승률 7.0%와 비교해 9.9%P 떨어졌고, 고양 일산 서구와 용인지역(처인구·기흥구·수지구)도 각각 7.0%P와 5.8%P 낮아졌다.
일산과 용인지역은 신규물량이 대거 몰리면서 매물이 적체됐으며, 분당은 인근에 판교와 광교 신도시가 개발되면서 가격이 급락했다.
닥터아파트 관계자는 “최근 5년 동안 전국의 집값을 상승시켰던 과천과 분당 등은 기대감에 의해 투기적 수요가 몰리고, 과다한 입주물량이 쏟아졌던 곳”이라며 “집값 급등 이후에 작은 악재에 쉽게 출렁일 수밖에 없는 구조였다”고 말했다. 이형복기자 bok@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