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데없는 금도장 파문이 괴상하게 돌아간다. 2007년 노무현 정부에서 국새를 만들었던 때다. ‘대한민국’이라고 새긴 국새는 순금 3㎏이 구리 아연 등과 함께 들어갔다.
그런데 순금 800~900g(싯가 4천만원)이 남은 것을, 국새 제작단 M 단장이 가져가 금도장을 만들어 정계 요로 인사에 선물했다는 것이다. 금도장은 13개라고도 하고 14개라는 말도 있다. 어떻든 이 가운데 두 개는 민주당 J의원, 전 행안부 차관 등으로 확인됐는데 나머지는 행방이 묘연해 억척이 구구하다.
문제의 금도장은 지름과 높이가 각 1.5㎝의 14K로 싯가 200만원 상당이다. 단순한 선물이 아닌 로비성 뇌물로 소문이 나 있다. M 단장은 일반인에게는 큰 돈을 받고, 금도장을 새겨판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금명함은 있었다. 왜정 때다. 국내 백화점왕 이었던 P씨는 조선총독부에 일본인 고관이 부임하면, 으레 자신의 이름을 두툼한 금명함에 새겨 건네며 인사를 나누곤 했다. 금명함은 금괴나 다름이 없다. 금덩어리를 준 것은 뇌물이라 하겠으나, 명함으로 주고 받은 것이니 괜찮다는 것이었다. 물론 현대사회에서는 있을 수 없는 뇌물로 간주되지만 왜정 땐 그렇게 통했다.
국회의원의 금배지는 4대 국회 전에는 없었다. 4대 들어 어느 금광업자가 국회의원에 당선되면서 자비로 전 국회의원에게 금배지를 만들어 나눠준 것이 시초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국회 사무처에서 도안을 정식으로 채택해 공식 금배지를 만들게 됐다. 그런데 금배지를 가슴에 단 그들이 별로 국민사회의 존경의 대상이 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유감이다.
금도장은 처음이다. 어떤 고관대작들이 금도장을 받았는 지 모르지만 아마 실제로 사용하진 않았을 것이다. 인감도장으로도 안 썼을 것이다. 패물함에 넣어 뒀을 것이나, 장물로 만든 게 인정되면 국고에 반납해야 한다.
금도장 파문은 행안부의 조사 의뢰로 당국의 수사가 시작됐다. 그 전모가 앞으로 어떻게 나타날 것인 지 흥미롭다. 임양은 주필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