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만명 추적조사, B형 간염 예방접종 중요성 높아져
B형 간염바이러스(HBV) 보유자의 경우 비호즈킨림프종에 걸릴 확률이 2배 이상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에 따라 B형 간염 예방접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연세대 보건대학원 지선하 교수 연구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연구원, 미국국립암연구소와 공동으로 14년 동안 한국인 60여만명을 추적 조사한 결과 B형 간염바이러스 보유자의 경우 비호지킨림프종 발생률이 2배 이상 높았다.
연구에 따르면 14년간 B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은 5만 3045명으로 이 중 133명이, 나머지 감염되지 않은 사람 중 905명이 비호지킨 림프종에 걸렸다.
비호지킨 림프종 발병률은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자는 전체 인구 10만명당 19.4명인데 반해 비감염자는 인구 10만명당 12.3명으로 약 2배에 가까이 차이가 났다.
비호지킨 림프종은 림프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가 악성화 돼 생긴 혈액암의 일종으로 국내 악성림프종의 95.6%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어디로 전이될 지 예측이 어려워 치료가 힘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호지킨림프종의 경우 면역기능이 저하된 상태에서 바이러스 감염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하지만 이번 연구 결과로 B형 간염바이러스가 면역세포인 B세포를 지속적으로 자극해 비호지킨 림프종의 발생을 높였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밝혀졌다.
지선하 교수는 "비호지킨림프종을 예방하기 위해 B형 간염 예방 접종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생각해야 될 것"이라며 "성인에서 B형간염 보유자로 판명된 경우 비호지킨병의 고위험군으로 분류하여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