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전당대회… 집단지도체제 도입

당권·대권 분리, 최종 후보 9명 사전 가리는 컷오프제 등 ‘전대 룰’ 확정

민주당이 10·3 전당대회에서 단일지도체제 대신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통합 선출하는 집단지도체제를 도입하고 후보자 난립을 막기 위해 최종 후보 9명을 사전에 가려내는 컷오프제를 실시하기로 했다.

 

또 대통령 선거 1년 전에 당권과 대권을 분리해 당 대표 등 지도부가 대권에 도전할 경우 오는 2012년 총선 공천권을 행사할 수 없도록 규정했다.

 

민주당은 6일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당무위원회를 열고 차기 지도체제 개편안과 전당대회 경선 방식 등의 내용을 담은 ‘전당대회 룰’을 이같이 확정했다.

 

인준안을 보면 먼저 기존 단일지도체제 대신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통합 선출하는 집단지도체제가 도입됐고 후보자 난립을 막기 위해 오는 9일 예비경선을 실시, 최종 후보 9명을 사전에 가려내는 컷오프제가 실시된다.

 

컷오프제는 당 중앙위원 약 480명 가운데 정세균 대표 시절 임명된 100여명을 제외한 370여명을 상대로 ‘1인3표제’ 투표 방식으로 진행되며, 본선에서는 ‘1인2표제’를 통해 최고득표자가 당 대표로 선출된다.

 

당무위는 또 하나의 쟁점이었던 당권·대권 분리 문제도 당대표 등 지도부로 선출된 인사가 대권에 도전하는 경우 대선 1년 전 사퇴와 함께 임시 전대를 소집, 지도부를 다시 선출토록 했다.

 

선출방식은 ‘대의원 투표 70%+당원 여론조사 30%’로 결정했고, 당 대표와 최고위원들을 통합 선출하는 순수집단지도체제가 도입된다.

 

그러나 당무위에서 ‘전대 룰’ 문제가 일단락됐지만 반대 의견을 갖고 있던 진영의 입장이 워낙 완고해 계파간 갈등이 언제 다시 분출될지 모른다.

 

특히 정세균 전 대표와 정동영 상임고문은 각각 본인이 주장했던 ‘대선 1년 전 대표직 사퇴’와 ‘집단체제 도입’을 이끌어내면서 실익을 챙겼지만, 손학규 상임고문은 자신이 요구했던 ‘대표의 총선지휘권 보장’을 확보하지 못해 ‘빈 손’으로 남았다는 평가다. 이에 따라 손 고문 측의 거센 반발을 사고 있다.

 

더욱이 집단체제였던 열린우리당의 콤플렉스를 극복하는 것도 과제다. 집단체제는 과거 우리당의 당내 분열과 갈등을 심화시켰다는 평가를 받아 2008년 당헌·당규를 개정, 현행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로 변환·운영돼 왔다.

 

정 전 대표는 집단체제를 ‘이미 실패한 제도’ ‘당의 분열을 조장하는 제도’라며 강한 반대 입장을 피력한 바 있다.

 

집단체제는 대표와 최고위원을 동시 선출하고 대표의 독주를 다른 최고위원이 견제·감시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 동시에 대표의 안정성을 떨어뜨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전당대회 방식이 확정됨에 따라 민주당은 7일과 8일 양일간 후보자 등록을 받고, 오는 11일부터 각 시도당개편대회를 여는 등 본격적인 전대 일정에 돌입할 예정이다.  강해인기자 hikang@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