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재희·조무제 등 포함된 듯… 내주 지명 예상
자진사퇴한 김태호 국무총리 후보자의 후임으로 최근 3~4명이 압축됐으며, 이중 전재희 전 보건복지부 장관(한·광명을)도 하마평에 올라 관심을 끌고 있다.
전 전 장관은 행시 출신 공무원에 노동부국장, 관선·민선 광명시장, 3선 국회의원, 복지부장관 등 공직을 두루 거쳤고 ‘여성 카드’라는 게 장점이며, 특히 여야 국회의원들과의 관계가 원만하고 장관 인사청문회 경험이 있다는 점이 큰 매력으로 꼽힌다.
7일 여권에 따르면 청와대 인사 라인은 최근 총리 후보자 인선안을 3~4배로 압축해 이명박 대통령에게 보고했으며 이들에 대상으로 정밀검증 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3∼4배수 인사안에는 김황식 감사원장과 조무제 전 대법관, 전 전 장관 등이 포함된 것 아니냐는 관측이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이 대통령이 최종 결심을 하고, 정밀검증 작업이 완료되려면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후임 총리 후보자 지명은 빠르면 다음주초, 늦어도 다음주말께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한나라당 안상수 대표(의왕·과천)가 이날 이 대통령과의 월례 당정회동에서 국정공백의 장기화를 막기 위해 추석전 총리 후보와 장관 내정자들을 임명해달라는 건의도 있었던 만큼 인선 속도가 빨라져 이번주중 총리후보가 발표될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후임 국무총리 후보자 인선의 최우선 기준은 이 대통령이 국정 핵심기조로 내건 ‘공정한 사회’에 적합한 인품과 도덕성을 갖춘 인물인지 여부가 될 가능성이 높다.
예상치 못한 사태로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총리 후보자가 또다시 낙마할 경우 ‘공정한 사회’의 가치가 퇴색하는 것은 물론 이 대통령의 집권 후반기 국정 운영에도 큰 타격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신중을 기하는 모습이다.
김 감사원장의 경우, 호남 출신인데다 행정 경험이 풍부하고 국민통합의 상징성이 있어 가장 많이 거론되고 있으며, 특히 이날 국회 법사위 전체회의에서도 민주당 박지원 비대위 대표가 총리 제의를 받았는지 집중적으로 물어 눈길을 끌었다. 김 감사원장은 “아니다”라고 일단 부인했다.
‘딸깍발이 판사’라는 별명을 갖고 있는 조 전 대법관은 지난 1998년 대법관 임명 당시 7천200만원의 재산을 신고하고, 퇴임후 전관예우를 받는 것을 포기하는 등 화제의 인물로 떠오른 바 있다.
강해인·김재민기자 jmkim@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