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용역비 줄이고 사업기간 단축 큰 도움 공공관리자제 도입 앞두고 협력사 확보 나서
경기도가 이달초 재건축·재개발 사업과 관련해 지방자치단체 등이 관여해 투명성을 확보하는 ‘공공관리자제도’ 조례를 상정한 가운데 도내 건설업계들이 경험이 많은 철거공사 전문업체를 선정하기 위해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18일 건설사들에 따르면 서울시에 이어 경기도도 공공관리자제도 시행을 앞두고 건설사들이 경험 많고 실적이 우수한 철거업체를 대상으로 도시정비 부문 협력사 모집에 나서고 있다.
공공관리자제도는 정비사업의 사업진행 관리를 공공에서 지원하는 제도로 공공관리자는 주민들이 추진위원회 구성, 조합임원 선출, 시공자와 설계자의 선정 등 정비사업의 주요결정을 투명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철거공사 및 전문업체가 시공권 수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경험이 풍부하고 실적이 많은 철거업체는 공사 및 용역비를 줄이고 사업기간 단축에 큰 도움을 주기 때문에 건설사들이 눈독을 들이고 있는 상황이다.
게다가 철거현장에서는 각종 안전사고 발생률이 높아 현장을 잘 관리할 수 있는 전문업체는 시공사의 기업이미지 관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다 준다.
이 같은 이유로 건설사들은 제도시행 초기 공백기를 거친 후 증가할 입찰물량에 대비해 사전에 우수 철거업체들을 협력사로 확보할 필요성이 있다.
실제로 재개발·재건축이 몰려 있는 수원의 경우 H철거업체는 대형건설업체로부터 제휴를 받은 상황이며, 안양의 B업체도 한 건설사로부터 인수·합병(M&A)을 위해 실사를 받고 있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종전과 달리 도시정비사업에 공공이 개입하게 되면 시공사지만 철거공사부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며 “이를 위해 철거전문업체들의 자격과 실적을 미리 검토해 협력사를 선정하고, 철저히 관리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형복기자 bok@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