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체육 허와 실] ⑥ 만년 부진종목 대책마련 시급
제91회 전국체육대회에서 경기도가 종합우승 9연패를 달성했음에도 불구, 일부 종목과 종별에서는 만년 부진을 면치 못해 경기체육의 균형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이들 종목에 대한 전력강화가 시급한 실정이다.
이번 대회에서 경기도는 전체 41개 종목 가운데 19연패의 육상과 12연패의 유도, 5연패 인라인롤러, 2연패 볼링을 비롯, 럭비와 궁도, 씨름, 배구, 수영, 정구 등 10개 종목서 우승했다.
또 레슬링, 복싱, 세팍타크로, 스쿼시, 역도, 조정, 체조, 카누, 테니스, 하키 등 10개 종목이 준우승을 차지했고, 근대5종, 농구, 야구, 사격, 핀수영 등 5개 종목이 3위에 올라 모두 25개 종목이 입상하는 고른 선전을 펼쳤다.
소프트볼·승마 등 하위권 전전… 침체 장기화
실업팀 부재·대표 선발 방식 문제 등 개선해야
하지만 상당수 종목의 선전에도 불구하고 소프트볼은 3년 연속 0점을 기록하는 부진을 보였고, 승마도 노메달로 8위에 그쳐 7년 연속 중하위권에 머물렀다.
이와 함께 골프는 역대 최저 성적인 9위에 그쳤고, 배드민턴도 3년만에 8위로 추락했으며, 노메달의 트라이애슬론(7위)과 최근 10년 동안 단 한번도 입상권에 들지 못한 요트(7위), 역대 최악의 성적으로 13위에 머문 핸드볼 등도 부진 종목으로 손꼽힌다.
이들 종목 가운데 소프트볼과 승마는 실업팀 부재, 핸드볼은 남자 실업팀 부재가 부진의 원인이며, 배드민턴은 대학팀, 요트 역시 실업팀의 전력약화가 주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골프는 도내에 많은 우수선수가 있음에도 불구, 대표선수 선발 방식의 문제와 일부 선수들의 프로 진출을 겨냥한 전국체전 출전 기피 등이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육상 여대부와 수영 다이빙, 조정 여고부 등의 부진이 장기화 되고 있는 데도 전혀 대안을 마련하지 못한 채 연승행진에 ‘우승만 하면 된다’는 식의 방관을 하고 있어 대책마련이 절실하다.
황선학기자 2hwangpo@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