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희망이다] 김준호 농협중앙회 경기지역본부장
농협 또는 농협중앙회라고 하면 보통사람들은 금융기관으로 많이 인식하고 있지만 농협이 하는 일은 그게 다가 아니다. 농업인들의 복지증진,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펼치고 있다.
특히 농협 경기지역본부는 현재 카드 이용액의 0.3%를 경기도에 기부해 저출산 관련 사업에 사용하도록 한 ‘아이 플러스 카드’(I plus card) 발급, 전문 여성농업인을 연계한 1:1 맞춤형 영농교육, 국제결혼 외국 여성의 정착을 돕는 ‘농촌 여성결혼이민자 모국방문 지원 사업’과 같은 여성분야 및 복지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꾸준한 지원을 하고 있다. 또한 내부적으론 직원 출산시 산전·후 휴가 및 출산 휴직을 적극 권장하고 업무부담을 경감시켜주기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지난 15일 직무실에서 만난 김준호 농협중앙회 경기지역본부장은 “여성정책에 관해서는 동종업계 중 최고의 지원”이라고 말할 정도로 자부심을 갖고 있었다.
“전체 다문화가정 중 경기도 농촌에 거주하는 가정이 3만450명에 달합니다. 농촌에는 이들 외에 아이를 낳을 사람들이 없다는 데 주목했습니다.”
도내 31개 시·군 중 수원이나 과천, 안양 등은 문화시설이 밀집해 있고 편리한 환경을 갖춘 도심지역으로 인구밀도가 높다. 하지만 안성, 평택만 가도 농지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농촌지역으로 인구가 큰 도시의 동 수준에도 못 미친다. 김 본부장은 국제결혼 등으로 다문화가정이 늘어날 수 밖에 없는 농촌의 현실을 감안, 다문화가정이 이러한 지역적 특색을 잘 살려야 한다고 이야기 한다.
농협에서는 실제로 다문화가정의 모국방문 항공권 및 체제비를 지원하는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정착 지원, 3자녀 이상 출산 가정당 100만원을 지급하는 다자녀 출산을 위한 농촌지역 저소득층 가정 출산 축하금 지급을 비롯해 다문화가정 여성들에게 한글, 한국문화, 산후조리, 요리 등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다문화가정 여성대학을 운영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 본부장은 “개인이나 단체가 이런 활동을 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고 토로한다.
“다문화가정의 수는 점점 늘어가는데 그들이 한국에서 아이를 낳고 살아가며 필요한 시스템은 아직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습니다. 도시와 농촌의 차이를 떠나서 다문화가정의 한글 교육이나 놀이방, 교육비 등은 미비합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육아적 고민들을 해결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 합니다. 이제는 노인복지 뿐 아니라 ‘육아복지’라는 개념이 정착돼야 합니다.”
농촌이 잘 살게 되면 다문화가정을 떠나 도시의 젊은 층도 농촌으로 돌아 올 수 있다는 김 본부장의 생각처럼 ‘농촌을 무조건 문화가 낮은 곳, 살기 불편한 곳으로 인식하고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이 건강하게 성장하기 좋은 환경’이라는 시각에서 바라봐야 하지 않을까. 특히 경기도가 도·농간 교류가 활발하고 아이들의 밝은 웃음소리 넘치는 곳이 되길 기대해본다.
채선혜기자 cshyj@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