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집단의 연평도 도발이 자행된 지난 23일 오후는 참으로 착잡했다. 텔레비전 방송마다 중계한 시커먼 연기 속의 외딴섬을 바라보는 시청자들은 저마다 한숨을 내쉬었다.
조선중앙방송이 뚱딴지 같은 소릴 했다. “민간인 사망자가 있는 게 사실이라면 유감”이라는 것이다. 민가고 뭐고 가리지 않은 채, 온통 들쑤셔 섬을 무차별 공격해 놓고 한다는 소리가 얌통머리 없다.
연평도의 포연을 보면서 또 한 가지 느낀 것은 이러다가 전면전이 벌어지지 않겠느냐는 의구심이다. 그러나 국민사회는 침착했고 의연하게 대처했다. 주식시장 등도 이내 안정을 되찾았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모든 공무원에게 비상근무령을 내린 것은 마땅하다. 국가비상시에 공직자들이 제자리를 지키도록 한 것은 언제 소임을 이행해야 할 일이 있을지 모르기 때문이다.
도내 국가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에선 청내 방송 또는 내부 전산망 문자 등으로 비상연락망을 점검해가며 비상근무에 임했다. 자정이 지나선 귀가한 데도 없지 않지만 대부분 밤을 세웠다.
그런데 비상이 아닌 데가 있었다. ‘도교육청 비상근무체계 구멍’ 주제목의 부제는 ‘북 포격에 일선학교 공문하달… 상당수 교사들 다음날 연락 받아’로 됐다. 지난 25일자 본지 기사다. 심지어는 퇴근 교사의 복귀 지시 후 귀가 대기, 재복귀 통보 등 갈팡질팡하기도 했다. 비상근무 통보가 제대로 안돼 반대로 교사들의 문의가 도교육청에 쇄도하기도 했다는 것이다.
왜 이랬을까? 이 의문에 “교육감이 그런 사람이잖느냐”는 말이 있다. 하지만 믿기지 않는다. 김상곤 교육감이 아무리 좌파성향이로소니 비상근무령 이첩 시달을 고의로 늦췄다고 볼 순 없다. 뭔가 착오가 있었을 것이다.
인천시 옹진군 연평면사무소 면직원들은 오늘도 북녘의 위협 포성 속에 비상근무에 임하고 있다. “주민이 단 한 명이라도 남으면 떠날 수 없다”고 말한다.
남북분단 이전엔 조기잡이의 황금어장이 연평도였다. 해상에서 열리는 생선시장이 파시(波市)다. 조기 파시로 명성이 전국에 드높던 연평도가 지금은 무력 긴장이 드높다. 비상사태다. 임양은 주필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