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내년 수주 목표액 낮춘다”

공공관리제 본격 시행·국토부 SOC 예산 7천억 감소

건설사들이 부동산 시장 침체가 장기화 중인 가운데 내년께 공공관리제도가 본격 시행됨에 따라 수주목표를 대폭 감축할 것으로 보인다.

 

2일 건설사들에 따르면 공공관리제가 적용되면 시공사 선정 시기가 이전의 ‘조합설립 인가 이후’에서 ‘사업시행 인가 이후’로 바뀌게 되면서 건설사들이 재개발·재건축 사업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당장 1~2년이 걸리기 때문이다.

 

경기도의 경우 지난 7월30일 ‘경기도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조례 개정조례안’을 입법예고 한 후 의견수렴 중이다. 제도 시행을 앞두고 세부 규정이나 경험이 없기 때문에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할 경우 시공사 선정 시기가 계속 지연될 가능성이 크다.

 

또 정부의 내년 예산 감축도 건설사들을 위축시키고 있다. 실제로 국토해양부가 수립한 내년 SOC관련 예산은 23조4천억원으로 올해보다 7천억원 감소한다.

 

이 가운데 신규 발주 물량에 투입되는 예산은 980억원에 불과해 내년 SOC 발주물량이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미분양이 많은 상황에서 주택사업을 확대하기도 어렵다.

 

게다가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전국의 130여개 사업장에 대한 구조조정안을 수차례 연기하면서 수주 급감에 한몫했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막대한 부채에 시달려온 LH가 성남 재개발 2단계 사업을 포기한데 이어 부천 고강뉴타운, 원종동 원종5B 주택재개발정비사업 등도 사업이 중단됐다.

 

대형건설사 한 관계자는 “주택건설 경기가 좀체 풀리지 않는 가운데 내년께 공공기관이 주도하는 공공관리제도가 경기권까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며 “재개발·재건축시장이 위축될 것을 감안해 내년 수주 목표액을 하향조정했다”고 말했다.

 

이형복기자 bok@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