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도 임신 중 흡연비율 3% 달해
임신부가 하루에 담배를 10개비 이상 피우면 훗날 딸의 사춘기가 더 빨리 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안슈 슈레스타 교수팀에 따르면 1984~1987년 임신한 여성 1만3천815명을 대상으로 한 흡연 정도와 음주량에 대한 조사와 2005년 이들의 자녀 가운데 딸을 대상으로 처음 생리를 시작한 시기 등에 대해 조사한 결과 여성 가운데 40% 이상이 임신 중 담배를 피웠으며 70%는 1주일에 적어도 술 한 잔은 마셨고 17%는 임신 중 적어도 한번은 폭음을 했다고 답했다.
연구결과 임신 중 하루에 적어도 10개비씩 담배를 피운 여성의 딸은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초경을 3~4개월 더 빨리 시작했다. 하지만 임신 중 음주와 월경 시작 시기와는 큰 관계가 없었다.
연구진은 “흡연이 태아에게 정확하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담배의 부산물이 태반을 지나 아기의 호르몬 수치에 영향을 주기 때문으로 보인다”며 “개인을 놓고 봤을 때 3~4개월은 큰 차이가 아니지만 대규모 연구결과 나온 평균값이기 때문에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 “임신 중 술을 마시는 것과 초경 시기와는 큰 관계가 없었지만 임신 중 술을 마시면 태아 발달, 임신 중 합병증 등의 문제를 겪을 위험이 높기 때문에 삼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전 연구에 따르면 초경 시기가 빠르면 심장병, 유방암, 호흡기질환 등 훗날 건강 문제를 겪을 위험이 높다.
한편 국립암센터 서홍관(한국금연운동협의회 회장) 박사, 서울대의대 산부인과 전종관 교수, 고려대의대 산업의학과 전형준 교수팀이 전국 산부인과에서 아이를 갓 낳은 산모 1천57명을 대상으로 소변검사를 통해 흡연율을 조사한 결과 3.03%가 임신 중 흡연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