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미분양 15년만에 ‘최대’

10월 미분양 물량 3만가구 3분의 1은 ‘악성’으로 분류

수도권 미분양이 차츰 늘어 3만가구에 육박하면서 15년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더욱이 미분양 물량 가운데 3분의1 가량이 ‘악성’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주택인 데다 2007년말 분양가 상한제를 앞두고 ‘밀어내기’ 한 고분양가의 대형 아파트가 70%에 달해 쉽게 소진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8일 국토부와 국민은행의 전국 주택가격동향 조사에 따르면 10월 말 현재 수도권 미분양 주택은 2만9천334가구로, 전월(2만9천201가구)보다 133가구(0.5%) 늘었다.

 

인천이 4천127가구로 280가구(7.3%), 서울이 2천506가구로 337가구(15.5%) 증가했고, 경기는 2만2천701가구로 484가구(2.1%) 감소했다.

 

10월 수도권 미분양 물량은 1995년 12월의 3만4천993가구 이래 15년 만에 가장 많은 것이다.

 

미분양 물량은 부동산 시세를 그대로 반영해 1998년과 2008년 경제위기 때 급증했고, 2002~2003년, 2006년 집값 상승기때 급감했다.

 

특히 수도권 미분양 가운데 준공 시점까지도 팔리지 않아 건설업계에서는 ‘악성’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수도권의 10월 미분양 물량 2만9천334가구 가운데 준공 후 미분양은 9천20가구(30.7%)나 됐다.

 

경기도의 경우 2005년 1천228가구, 2006년 2천520가구, 2007년 1천340가구, 2008년 1천136가구, 지난해 2천246가구에서 올해 10월 7천389가구로 증가했다.

 

이 같은 수도권 미분양 물량 증가에 대해 부동산 관계자는 “지방 건설업체를 살린다는 취지로 지방 미분양 구입 때 각종 세제 혜택 등을 주면서 수도권이 제외된 것은 형평에 맞지 않다”며 “수도권 시장이 장기 침체 현상을 보이는 만큼 수도권에도 같은 정책을 적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형복기자 bok@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