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기 지원 안돼 ‘무용지물’
대당 최고 100만원 개인 구매 힘들어… “지자체 보급 노력 절실”
시각장애인의 편의를 위해 도내 지자체에서 음성 바코드 시스템(보이스아이)을 도입했지만 이 바코드를 읽을 수 있는 장비지원은 전무, 음성 바코드 시스템이 무용지물로 전락하고 있다.
12일 경기도와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경기도지부 등에 따르면 음성 바코드 시스템은 바코드에 리더기를 댔을 때 고지서 요금이나 책자, 문서의 내용 등을 음성으로 출력해 시각장애인들도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문서 내용을 스스로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 시스템이다.
경기도는 지난 2008년 4월부터 음성 바코드 시스템을 시범 도입, 도·시청 내 공문서와 책자, 세금 고지서 등에 해당 바코드를 부착하고 있다.
그러나 바코드를 읽어 음성으로 알려주는 바코드 리더기에 대한 지원은 전무, 대다수의 시각장애인들이 바코드 시스템에 대한 혜택을 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바코드 리더기는 대당 70만~100만원에 달해 시각장애인들이 개인적으로 구매하기는 힘든 실정이다.
시각장애 1급 김훈규씨(52·양주시 남면)는 “시각장애인의 답답함을 해소해줄 수 있는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바코드 리더기의 가격이 너무 비싸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며 “지자체의 리더기 보급 노력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도내 상당수 지자체는 구청과 주민센터 등은 물론 장애인복지시설에도 바코드 리더기를 비치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남과 안산시는 장애인복지 담당부서에 1개의 바코드 리더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수원과 고양시 등은 별도로 마련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달리 용인시는 41개의 바코드리더기를 구청, 주민센터, 보건소, 공공도서관에, 포천시는 19개의 바코드 리더기를 운영하고 있다.
이에 대해 경기도 장애인복지 관계자는 “아직 바코드 리더기에 대해서는 지원하지 않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2012년부터 시범적으로 바코드 리더기에도 의료급여를 적용하는 등 저렴하게 공급하는 방안을 검토 중에 있다”고 밝혔다. 홍병의기자 redsick@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