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형인지 새 바이러스인지 결론 어려워… 정밀조사 하기로 정부 발생지역 15억 긴급지원, 道도 매몰감독관 파견 등 총력
정부가 양주, 연천 지역과 경북 안동지역의 구제역 바이러스 염기서열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수산식품부는 16일 양주, 연천지역과 경북 안동지역 구제역 바이러스 염기서열이 총 639개 중 5~6개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발표했다. 또 경기지역에서 발병한 구제역이 안동 지역의 바이러스가 진화된 것인지, 외국에서 새로 유입된 것인지 결론내리기 어렵다고 밝혔다.
염기서열에 대한 정밀 조사는 바이러스 감염의 원인과 대처방안을 찾는데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안동지역에서 변형된 것이면 방역망 문제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고 새로운 바이러스일 경우 외국에서의 유입 가능성이 높아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정부는 바이러스의 정확한 차이를 조사키로 했다.
이와 함께 행정안전부는 구제역이 발생한 양주, 연천, 파주지역에 방역대책비로 특별교부세 15억원을 긴급 지원키로 했다.
행정안전부는 구제역이 도내 양주, 연천, 파주로 확산됨에 따라 구제역 확산 방지를 위해 이들 지역에 특별교부세 각각 5억원을 긴급 지원했다고 밝혔다.
이번 긴급 조치는 대규모 축산단지를 이루고 있는 경기 북부 지역의 광범위한 확산 차단은 물론, 경기 서부와 인천 등 인접 시·도로의 확산을 막기 위해 구제역 방역장비 보강과 약품구입, 인력동원에 따른 제반비용을 보전하여 구제역 방역에 차질이 없도록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또 정부는 이날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관을 단장으로 하는 ‘정부합동지원단’을 구성, 17일부터 경기도 제2청사에 상황실을 설치하고 자치단체 방역지원, 방역 물자·인력 지원 등 구제역 수도권 확산 방지를 위해 최선 다할 예정이다.
경기도도 파주와 양주, 연천 등 구제역 발생지역의 가축 살처분 매몰에 따른 2차 환경오염을 막기 위해 가축 매몰 감독관을 편성하는 등 대책마련에 나섰다.
도는 31개 시·군에 모두 512명의 가축매몰감독관을 편성, 이번 구제역에 따른 매몰지역부터 현장을 관리·감독하도록 했다.
강해인·박성훈기자 hikang@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