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안보교육 강화… 전국 5대 권역에 보훈요양원 확충
국가보훈처, 2011 업무보고
천안함·연평도 등 국가안보를 위해 숨지거나 다친 국가유공자에 대한 보상과 예우가 한층 강화된다.
국가보훈처는 22일 청와대에서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2011년 업무보고회’에서 이같은 내용의 내년도 보훈업무 추진계획을 보고했다.
보훈처는 이날 ‘튼튼한 국가안보에 기여하는 국가보훈’을 주제로 한 업무보고에서 전몰·순직유족에게 보상을 확대하고, 상이 1급 중상이자에게 특별수당을 지급하는 등 안보희생자에 대한 보상과 예우를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또 부상자 가정의 생활실태를 정기적으로 확인해 본인이 희망하는 취업, 교육, 주택 등 맞춤서비스를 지원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청소년들이 고령 참전유공자를 위문봉사하는 ‘나라사랑 앞섬이’ 실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청소년 안보 교육을 강화할 예정이다.
우선 제2연평해전과 천안함 피격, 연평도 포격 등 전투 중 숨지거나 순직한 장병의 유족에게는 보상금을 월 100만원으로 인상해 일반유족과 차등 지급키로 했다.
기존에는 유족유형 구분 없이 일률적으로 보상금을 지급하던 것도 갑작스런 생계주체자 사망으로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 보훈대상자에게는 3인 가족 기준 월 155만5천원 미만까지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또 상이 1급 중상이자에게는 월 31만2천원(1급1항)~월 9만4천원(1급3항)의 특별수당을 추가 지급키로 했다.
보훈대상자 평균연령이 68세로 고령화 단계에 진입하면서 6·25참전자 등 고령 보훈대상자의 의료 및 국립묘지 안장 수요 증가로 지원을 확대한다.
전국 5대 권역에 보훈요양원을 확충하고, 통합요양정보시스템(Bohun-Care) 기능 강화 및 과학적 건강호전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국립묘지 안장 수요 증가로 영천(2만5천기)·이천(1만기)·임실(6천기) 호국원 및 5·18묘지(1천기)를 확장하고, 국립묘지법 개정을 통해 묘지 조성절차를 개선하기로 했다.
특히 ‘천안함 피격 1주기 추모행사’를 비롯한 보훈기념행사는 ‘국가수호 의지’를 다지는 행사로 치르고, 전국의 현충시설을 ‘나라사랑 기림터’로 브랜드화하는 등 ‘호국안보 체험장’으로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현충일에는 전국의 국립묘지에서 호국영령 이름 다시 부르기(Roll Call)행사를 개최해 국가를 위한 희생과 헌신에 대한 자긍심을 높이도록 할 예정이다.
이밖에 부산 UN 평화기념관을 건립하고 UN 참전국 참전기념 시설 건립을 적극 지원하는 등 참전기념시설 활용을 통한 대한민국 이미지를 제고할 방침이다. 강해인기자 hikang@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