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주들 임대 기피… 장애인시설 설 자리가 없다

장애인 시설을 기피하는 ‘지역이기주의’가 판을 치면서 도내 장애인관련 기업이나 단체들 상당수가 보금자리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80여명의 중증장애인들에게 재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안산시 A장애인단체는 이전을 하고 싶어도 가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2년 전부터 신축건물로의 이전을 추진하고 있지만 인근 건물주들이 장애인 시설이라는 이유로 시세보다 높은 가격을 요구, 새 보금자리를 마련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A단체 직원들은 6년째 1.5m 안팎의 노후된 계단을 이용해 중증장애인들을 일일이 들어나르는 수고를 감내하고 있다.

 

장애아동들에게 언어치료, 심리치료 교육을 실시, 지난 10월 ‘사회적기업’ 인증을 받은 용인시 기흥구의 B업체 역시 사정은 마찬가지다.

 

B업체는 현재 중증장애아동을 위한 돌봄시설 설치를 추진하고 있지만 건물주들이 막무가내로 임대를 기피하면서 마땅한 터전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이에 B업체는 한 회원의 도움으로 수원시 영통구의 한 교회를 임시사용하고 있지만 용도변경 등 법적문제로 인해 쫓겨날 위기에 처한 상태다.

 

B업체 관계자는 “가격 조건을 제시하면 금방 계약할 것처럼 하다가도 장애인 시설이라는 말만 나오면 얘기가 전혀 달라진다”면서 “장애인 시설이라는 이유로 가격을 달리 적용하는 것은 명백한 차별”이라고 불평했다.

 

이에 대해 장애인연대 관계자는 “상당수 장애인 시설들이 이러한 종류의 차별을 받고 있지만 입증이 쉽지 않아 업주들을 고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며 “성숙한 시민의식이 아쉬운 대목”이라고 말했다.

 

박민수기자 kiryang@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