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최후의 카드’ 예방백신 접종키로

정부는 22일 경기 북부지역 등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구제역 방지대책으로 최후 수단인 예방백신을 접종키로 확정했다.

 

정부는 이날 오후 과천청사에서 유정복 농림수산식품부 장관(김포) 주재로 ‘긴급 가축방역협의회’을 열어 구제역 사태가 심각한 단계라고 판단, 이같이 결정했다.

 

백신 접종은 지난 2000년 구제역 당시 사용했던 처방으로 고비용에 예방접종 중단 뒤 1년이 지나야 구제역 청정국 지위가 회복돼 세계 각국이 꺼리고 있는 ‘마지막 대책수단’이며, 청정국으로 다시 인정받기 전까지 수출에도 타격이 불가피하다.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백신 접종의 구체적인 시기와 규모(범위)는 가축방역협의회 산하에 소위원회를 구성, 결정하기로 했다.

 

정부의 이같은 방침은 경북 안동에서 시작된 구제역이 수도권인 경기 북부지역에 상륙한 데 이어 청청지역인 강원 평창과 화천까지 번지는 등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고 있다고 판단한 데 따른 것이다.

 

앞서 유 장관은 오전 구제역 상황보고를 위해 긴급소집된 국회 농림수산식품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구제역 방역의 마지막 수단인 백신 접종과 관련, “(정부는) 구제역 발생 농장을 중심으로 최소한의 추가 예방접종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갖고 준비하고 있다”며 “절차를 거쳐 링(Ring) 백신을 추진할 계획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링(Ring) 백신’은 구제역 발생농장 등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일정 반경 내에서 백신 접종을 실시하는 것이다.

 

그는 또한 “지금 구제역의 확산 속도와 발생농가 규모가 2000년보다 훨씬 크다”면서 “백신 접종을 하게 된다면 우선 전염 확산속도가 빠른 소에 대해 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재민기자 jmkim@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