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근로자 재활상담사 태부족

경인지역 37명뿐… 상담사 한명당 55명 맡아

근로복지공단이 산재근로자의 사회복귀를 돕기 위해 재활상담제도를 운영하고 있지만 재활상담사가 턱없이 부족해 제 구실을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26일 근로복지공단에 따르면 공단은 산재근로자의 심리적 안정을 지원하고 직업 및 사회복귀를 돕기 위해 지난 2001년부터 재활상담제도를 운영, 사회복지사 또는 직업재활사 등의 자격을 소지한 재활상담사들이 활동하고 있다.

 

이러한 재활상담사는 가정과 병원 등을 직접 방문해 산재근로자에게 심리상담 등 다양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각종 지원금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으며 취업 후에도 고용 유지를 위해 1년간 사후관리를 하고 있다.

 

그러나 경기, 인천지역의 재활상담사는 불과 37명(전국 179명)에 그쳐 현재 재활을 신청한 2천25명의 산재근로자들을 관리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

 

이는 1명의 재활상담사가 평균 54.7명의 산재근로자를 관리하고 있는 셈이다.

 

이처럼 재활상담사가 턱없이 부족해 재활을 받고 있는 2천25명의 산재근로자 가운데 재취업에 성공한 근로자는 절반(57.7%) 수준인 1천167명으로 집계되는 등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를 위한 재활상담제도의 당초 취지를 무색하게 하고 있다.

 

도내 한 재활상담사는 “상담사 한명이 50여명에서 많게는 100명 이상을 관리하는 데 사실상 역부족”이라며 “재활상담사 인력 확충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근로복지공단 관계자는 “현재 재활상담사 19명을 채용 중에 있다”며 “산재근로자의 사회복귀를 위해 재활상담사 인력을 확충해 다양한 재활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권혁준기자 khj@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