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지원금 절반 줄어… 급식·공부방 운영 차질 불가피
인천 부평구 청천2동에서 지역아동센터(사랑의아동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황미숙씨는 돌아오는 새해가 희망적이지만은 않다.
대표적인 저소득층 밀집지역에 위치한 사랑의아동센터에 오는 어린이 29명은 대부분 한부모가정 아이들이다.
아이들은 엄마나 아빠가 일을 나가면 갈 곳이 없다.
사랑의아동센터가 이 지역 방임 아동들의 지역보호자인 셈이다.
아이들은 이곳에서 밥도 먹고, 영어교실과 컴퓨터·미술활동·바이올린교실 등 사랑의아동센터가 운영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하다 오후 늦게 집으로 돌아간다.
황씨는 아이들이 밥먹는 모습을 볼 때면 걱정이 더욱 앞선다고 한다.
그는 “내년엔 반찬을 줄여야 할지, 컴퓨터 프로그램을 빼야할 지 고민으로 요즈음 밤잠을 뒤척인다”며 “그럴 수는 없지 않느냐”고 한숨을 지었다.
사랑의아동센터는 올해까지 매월 300만원씩 지원받던 정부지원금을 내년부터는 절반인 150만원으로 깎였다.
지역 전체 지역아동센터 175곳의 사정도 마찬가지. 지역에는 현재 모두 4천480명의 저소득·차상위계층 아이들이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있다. 지역아동센터는 예전에 ‘공부방’으로 불렸다.
보건복지부는 인천지역아동센터에 지원하던 운영비를 올해보다 50% 삭감하겠다고 최근 통보했다.
인천지역아동센터가 보건복지부의 평가사업을 거부했다는 이유다. 보건복지부의 평가 거부를 이유로 지역아동센터 운영지원금이 삭감된 곳은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인천이 유일하다.
지역아동센터 운영지원금은 보건복지부가 50%, 시와 구·군이 25%씩 분담해 지원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지역아동센터에 운영지원금을 주지 않기 위한 평가도 아니고 최소한의 수준을 요구하기 위한 평가였다”며 “평가를 거부하면 지원금 전액 삭감이 원칙이지만, 그나마 절반은 지원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인천지역아동센터단체협의회는 ‘지역아동센터의 문을 닫게 하는 정부 평가’는 거부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협의회는 지난해 보건복지부 평가를 받은 인천지역아동센터 가운데 9곳이 정부의 지원금이 끊겨 문을 닫았다고 주장했다.
이 단체 회장인 김성욱 만수행복아동센터 대표는 “가뜩이나 어려운 인천지역아동센터의 내년 살림살이가 걱정”이라고 말했다. 이창열기자 trees@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