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천청사 떠난 자리, 메디컬벨트 조성해야”

김영태 정부청사 이전 과천시민 대책위원장

“정부는 청사가 이전되는 세종시에 대해서는 특혜 이상의 지원을 하면서도 정작 행정기관이 빠져 나가는 과천시에 대해서는 아무런 대책을 마련하지 않고 있습니다.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 추진을 견계하고 청사 이전에 따른 대안을 마련해 나갈 예정입니다.”

 

정부청사이전 과천시민 대책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영태 위원장(65)은 청사이전이 확정된지 수 개월이 지났지만 과천시의 정체성 상실과 공동화 위기에 대해선 이무런 대책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며 정부를 비판했다.

 

그는 행정기관이 빠져 나가는 과천시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현재 국회에 계류중인 과천지원특별법과 수도권정비법 개정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김 위원장은 정부가 청사이전에 대한 대책이 마련되더라도 3년에 걸쳐 연차적으로 이전을 하기 때문에 이전기간과 건물 리모델링사업 등의 기간을 합치면 최소한 5~6년 동안은 공동화 현상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같은 공동화 현상을 막기 위해서는 과천시민회관 인근 부지와 청사앞 운동장 부지의 사용권을 과천시에 이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시민회관 인근 부지 지하에는 지하철 환승주차장을 건설하고 지상에는 시민의 휴식공간을 조성해야한다고 피력했다.

 

또 청사앞 운동장 부지는 700베드의 대학병원을 유치하고, 국사편찬위원회와 중앙공무원연수원 등의 부지는 노인전문병원을 만들어 이 일대를 메디컬 벨트를 만들어야 공동화 현상을 막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이 계획대로 진행되면 상주인구와 유동인구가 최소한 5~6천여명이 넘어 청사이전에 따른 공백을 막을 수 있다고 확신했다. 

 

김 위원장은 이같은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9월 중 도시공학 등 전문가들로 자문위원회를 구성해 대안을 마련하고 이 대안을 정부에 건의할 계획이다.

 

김 위원장은 “청사이전에 따른 정부의 대책이 과천시의 운명을 죄우한다” 며 “앞으로 7만 시민의 지혜를 모아 과천의 정체성 확립과 미래 발전을 위한 대책을 수립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