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 채용규모 확인 어려워… 아직 가닥도 못 잡아
고용노동부가 지역 일자리대책의 일환으로 지자체별로 4년간의 일자리 목표 및 대책을 수립, 지역주민에게 공표키로 한 일자리공시제가 시작부터 삐그덕거리고 있다.
4일 고용노동부와 도내 시·군에 따르면 고용노동부는 각 시·군 지자체장이 해당 지역 주민들에게 자신의 임기 중에 추진할 일자리목표 및 대책을 공표·추진하고, 정부는 컨설팅 및 인센티브를 제공해 지역고용 활성화를 꾀하기 위한 일자리공시제를 지난 7월 도입했다.
경기지역에는 수원과 성남, 의정부, 안양 등 23곳의 시·군이 고용노동부에 일자리공시제를 신청했다. 해당 지자체는 2014년까지 4년간 추진할 일자리 목표 및 대책을 수립, 지난 12월말까지 홈페이지나 주민대상 설명회를 통해 공표키로 했다.
그러나 성남과 안산, 오산, 평택 등 상당수의 시·군이 아직까지 일자리 목표 및 대책을 공표하지 못하고 있는 데다 목표 수립에 어려움을 토로하며 가닥도 잡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들 기초단체들은 공공부문 일자리와 대기업의 경우, 어느 정도 채용규모 확인이 가능하지만 일반 기업들은 확인이 불가능해 얼마만큼의 일자리 목표를 세워야 하는지조차 파악이 어렵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한 지자체의 일자리정책 담당자는 “일자리공시제를 신청한 도내 시·군들이 갈피를 잡지 못하고 헤매고 있는 상황”이라며 “취지는 좋지만 각 시·군의 사정을 모른 채 공표를 서두를 것만을 재촉하는 일자리공시제는 고용노동부의 보여주기식 정책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대부분의 기초단체들이 일자리 목표 등을 공표하지 못해 이번 주내로 상황을 파악할 예정”이라며 “중앙과 지방이 서로 협력하면서 일자리대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실시하고 있는 공시제가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권혁준기자 khj@ekgib.com
일자리공시제란?
지방자치단체장이 해당 지역 주민들에게 임기중에 추진할 일자리 목표·대책을 공표하고, 중앙정부는 그 대책을 적극 지원하고 성과를 확인·공표하는 지역고용 활성화 대책.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