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公·무역協, 교역량 작년比 6.2% 오른 284만t 전망 “상반기 최저점 기록 뒤 하반기 IT·자동차부품 중심 증가”
올해 인천국제공항 항공화물 전망은 흐린 뒤 맑음으로 나왔다.
16일 인천국제공항공사에 따르면 한국무역협회와 공동으로 올해 항공화물 전망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보다 6.2% 상승한 284만t으로 집계됐다.
한·미, 한·EU FTA가 본격적인 발효되면서 양 지역과의 교역량이 증가할 것으로 내다본 것이다.
품목별로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물동량이 크게 둔화된 휴대폰 및 평판 디스플레이가 오는 2분기부터 회복되면서 항공화물 시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측했다. 지역별로는 중동, 남미 등 신흥시장 및 아시아, 일본지역과의 항공화물운송이 크게 증가될 것으로 예상했다.
수출화물은 지난해 85만1천t 보다 5.98% 증가한 90만2천t, 수입화물은 지난해 65만7천t 보다 9.2% 증가한 71만7천t, 환적화물은 지난해 117만5천t 보다 3.95% 증가한 122만1천t(환적율 43%)으로 전망됐다.
특히 올해 항공화물은 1분기 최저점을 기록한 뒤 2분기부터 IT제품 및 자동차부품을 중심으로 크게 증가될 것으로 예측됐다.
지난해 인천공항 항공화물 실적은 상반기 수출과 설비투자 등의 호조에 힘입어 반도체, 휴대전화, 자동차 등의 수출 증가 등으로 IT 및 자동차 부품의 수출입 항공화물량이 급증, 지난 2009년보다 16.1% 증가한 268만t으로 집계됐다.
허브공항의 주요지표가 되는 환적화물의 경우, 일본지역이 출·도착화물 모두 29.9%의 높은 증가세를 보여 인천공항이 일본지역에 대한 환적화물 허브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채욱 인천공항공사 사장은 “항공사, 물류기업 및 화주기업과 공동으로 반도체, 평판 디스플레이, 자동차부품, 휴대폰 등 주요 4대 항공화물 품목의 시장 전망을 분석해 더욱 정확한 예측치를 얻어낼 수 있었다”며 “앞으로 매년 항공 물동량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고 항공화물통계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kmk@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