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 자유무역지역 지정 부두 활성화·경쟁력 확보를”

이승민 인천항만물류협회장

이승민 인천항만물류협회장(선광 대표이사)은 “항만배후부지 기반시설 조성에 대한 정부 재정 지원율이 광양항과 부산항 등은 각각 100%와 50% 등인 반면 인천항은 25%(인천북항은 20%)에 그쳐, 정부 재정지원을 최소 50% 이상 확대해야만 임대료를 낮출 수 있다”며 “인천항 경쟁력을 창출을 위해 자유무역지역 등으로 지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올해 주요 현안은.

 

인천북항의 대규모 항만시설건설로 부두시설의 공급능력은 45.5%(하역능력 1만5천t 증가) 증가된 반면 같은 기간 수·출입 잡화 물동량은 2.5% 감소, 항만시설 공급 과잉으로 TOC부두 운영사간 출혈 경쟁을 빚고 있다.

 

이때문에 하역업계의 경영상태가 악화됐다. 현대제철과 동국제강 등이 그동안 인천내항 8부두에서 하역작업하던 물동량이 북항부두내 민자부두로 이전되면서 항만물류 전문기업이 작업하던 물동량마저 자회사 물류로 전환돼 항만하역 물류 전문업체들의 이중고 해결도 시급하다.

 

-송도신항 개발과 함께 인천항이 풀어야할 숙제는.

 

지난 2007년 북항부두의 본격적인 개장 이후 세계 경기의 침체 및 물동량 감소로 부두운영사가 경영난을 겪어 새로운 화물 창출이 요구된다. 북항의 경우 배후에 있는 대규모 항만부지와 연계한 부두 활성화 등 시너지를 증대시켜야 하고, 내항은 자동차, 싸이로, 청정화물을 중심으로 한 부두활성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인천신항 컨테이너전용부두 개장과 연계해선 내항 및 기존의 남항 컨테이너 부두에 대한 기능을 조정해 신항은 대형컨테이너 전용선박들이 입출항이 가능하도록 제3항로의 계획 수심을 현재 DL(-)14.0m에서 DL(-)16.0m로 증심해야 한다.

 

-올해 인천항만 하역업체들의 최대 현안은.

 

인천항은 최근 5년 동안 일반 건화물(수출입 잡화)의 물동량이 2.5% 감소했지만 항만시설 공급은 45% 증가, 부두운영 TOC 업체간 과당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정부 또한 민간자본에 의해 건설된 부두의 경우 ‘민자부두건설 실시협약서’에 의거, 협약 물량에 크게 미달되는 물량에 대한 대규모 수입보장 매출액(MRG)을 재정적으로 지원해줘야 하는 상황이다. 항만하역시장 안정화를 통한 하역요금의 제값 받기와 물동량 창출이 시급하다.

 

-바다를 낀 지자체들이 컨테이너항만 개발에 많이 투자하고 있다. 이에 대한 의견은.

 

인천항은 항만공사 설립 이후 배후부지 임대료가 4배 이상 껑충 뛰었고 항만이용료(화물입항료, 도선료, 선박입항료 외) 등은 전국에서 가장 높은 항만사용료를 부담하고 있다. 선·화주 입장에선 인천항 이용을 꺼릴 수 밖에 없는 구조다. 이같은 문제들을 개선하고, 인천항도 다른 항만과 같은 규모의 재정 지원이 절실하다.

 

-관련 업계에 당부하고 싶은 사항은.

 

인천항의 과도기적 상황을 순조롭게 극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업계간 협력과 거래질서 확립이 제일 중요하다. 이럴 때일수록 관계기관과 항만물류 협회 그리고 업계가 머리를 맞대고 대안을 찾는데 지혜와 힘을 모아야 한다.

 

허현범기자 powervoice@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