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 부족’ 부실 소각장 네탓 공방

고양 소각장, 설계치 80%밖에 처리 못해

 

환경관리공단 “처리량 미달 하자 보수를”

 

시공사 “공단 성능시험 통과… 책임 없어”

 

<속보>고양시 일산동구 백석동 환경에너지시설(소각장) 부실시공 의혹(본보 2010년 11월24일자 8면)속에 당초 계획된 처리용량을 소화하지 못해 쓰레기매립을 위한 추가비용이 급증하고 있지만 시와 운영관리 주체인 환경관리공단, 시공사가 책임 떠넘기기에 급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19일 고양시와 환경관리공단 등에 따르면 1천129억원이 투입된 백석동 소각장은 소각로 2기가 하루 150t씩 300t을 처리하도록 설계돼 지난해 3월 준공됐다.

 

그러나 지난해 시운전(1~3월)과 상업운전(4~12월) 결과 하루 처리량이 241t에 불과해 설계치의 80% 밖에 처리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환경관리공단은 시공사인 포스코 측에 쓰레기 처리량 미달에 대한 성능하자 보수를 공식 요청했다.

 

그러나 포스코 측은 “환경관리공단에서 인정한 성능시험을 통과해 문제가 없다”며 “부당하게 제재를 가할 경우 법적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맞섰다.

 

또 계약 당시 ‘발열량이 2천100㎉에 미달할 경우 설계용량의 70%만 소화해도 된다’는 단서 조항을 근거로 처리 용량 미달은 시공사에 책임이 없다고 주장했다.

 

특히 환경관리공단이 “자체 조사 결과 발열량이 평균 3천㎉까지 나왔다”고 반박하며 재조사를 요구하자 포스코 측은 “서울시립대 등에서 3차례 걸쳐 조사한 수치가 2천47㎉, 1천942㎉, 2천123㎉로 분석됐다”며 재조사를 거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소각장에는 반입된 후 처리되지 못한 쓰레기가 넘쳐나면서 지난해에만 1만5천205t이 수도권 생활쓰레기매립장으로 옮겨져 처리돼 2억4천800여 만원의 세금이 낭비된 것으로 드러났다.

 

시는 하자보수기간(3년) 동안 발생하는 운영비의 변동비가 10%를 초과할 경우 그 차액을 포스코에 청구하기로 하고 시설운영 수익금액의 손실금액은 발열량을 재확인 후 다시 산출하기로 했다.

 

그러나 고양시와 환경관리공단, 포스코의 책임공방이 계속될 경우 입찰계약서에 따라 관련 기관에 조정을 의뢰할 방침이지만 포스코 측이 거부할 경우 법적 분쟁까지 예상되고 있다.

 

고양=박대준기자 djpark@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