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부지역 돼지 90% 이상 희생… 도축·육가공 등 ‘개점휴업’
구제역으로 초토화된 경기북부지역의 축산 관련업계에 후폭풍이 거세게 불어닥치고 있다.
23일 경기도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구제역으로 인해 경기북부지역은 소 3만9천여 마리, 돼지 63만6천여마리 등 모두 67만5천여마리(사육 중인 소의 25%, 돼지는 68.9%)가 살처분됐다.
특히 돼지는 상당수 시·군에서 90%~95%가량이 살처분돼 북부지역 양돈업계가 패닉상태다.
양주시는 돼지 120농가 13만5천두 중 92%인 94농가 12만6천두가 살처분돼 효천리 등 몇몇 돼지농가만 간신히 살아 남았고 연천지역도 돼지 10만7천여마리 중 95% 가량인 10만2천여마리가 살처분돼 15농가 5천여마리만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북부지역 양돈기반이 사실상 붕괴되면서 사료, 도축장, 육가공업계는 물론 동물약품, 인공수정업, 수의사업계와 정육점, 식당에까지 찬바람이 몰아치고 있다.
한수이북 축산농가를 대상으로 사료를 판매하는 양주축협은 지난 해 12월 말께부터 구제역 영향을 받아 한 달 사이 매출이 1일 400~500t으로 절반 이하로 뚝 떨어졌다.
양주축협은 설상가상으로 사료원료가격까지 20~30% 인상됐으나 축산농가의 어려움 때문에 판매가격에 반영시키지 못하는 등 이중삼중의 고통을 겪고 있다.
북부 양돈업계를 기반으로 육·식가공업을 하고 있는 양주시 고암동 C업체도 타격이 심각하다.
윤규진 C업체 이사는 “포천, 동두천, 연천 소재 도축장서 하루 3천두, 연간 67만두 정도의 돼지가 도축됐다. 연간 4천200억원 규모다”며 “그러나 지난해 12월부터 도축장이 폐쇄되면서 생산되는 고기와 관련된 업계, 종사자에 미치는 경제적 손실은 천문학적 수치다”고 말했다.
이 업체는 지난해 12월23일 폐쇄된 동두천 우림도축장은 월 1만6천~1만8천마리의 돼지와 소 300여마리를 도축해 오던 인력 75명이 한 달째 손을 놓고 있다.
도축장에서 나오는 고기와 부산물을 운반·가공하는 것을 감안하면 1개 도축장 폐쇄로 일자리 손실은 수백 명에서 수천 명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도축장 관계자는 “이동제한이 풀리고 말고 도축할 돼지, 소가 없어 장기간 불가피하게 문을 닫을 형편이다”고 말했다.
도축물량이 전혀 없자 축협을 포함한 정육발굴사업, 식육가공사업을 하는 15개 가량의 육가공공장도 개점휴업 상태다
동두천도축장으로부터 도축된 고기를 받아 육가공을 하는 C업체의 동두천 가공공장도 한 달째 가동이 중단되면서 60명이 놀고 있다.
요식업계 관계자는 “경기북부 도축장에서 나온 고기를 가지고 정육점이나 식당을 하는 업소가 대략 2천500~3천여개로 추산된다”며 “수입산을 받아 쓴다 하더라도 수입고기는 대기업이 장악해 수요와 공급에 큰 차질이 생기고 일부는 휴업이나 폐업까지 예상된다”고 밝혔다.
수의업계도 구제역 종식이 공식선언되기까지 소, 돼지진료가 전면 중단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홍근 경기도수의사회 양주분회장은 “양돈업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컨설팅을 해주던 수의사들의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북부취재본부=김동일기자 53520@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