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시 36억·道교육청 14억… “사업비 대부분 지자체에 떠넘겨” 반발
오산시가 혁신교육지구 사업비 분담이 72.4%인 데 반해 경기도교육청은 27.6%에 불과하다며 불만의 목소리가 팽배해 있다.
24일 시에 따르면 시와 도교육청, 화성오산교육지원청 등 혁신교육지구 실무담당자들은 25일 혁신교육지구 사업을 위한 우선협상지구 본협상을 갖고 구체적인 사업비 분담 등을 협의한다.
시와 도육청은 현재까지 협의를 통해 혁신교육지구 사업예산 50억3천만원을 들여 공교육 혁신, 미래역량 인재육성, 지역특성화 사업 등 3개 분야 12개 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공교육 혁신 사업으로는 물향기학교 운영, 우수교직원 해외연수, 수업보조교사 지원, 교과연구회 조직운영 등을 통해 수업혁신을 도모하고 행정혁신을 위해 교무행정인력을 지원키로 했다.
미래역량 인재육성 및 지역특성화 사업은 위기학생지원센터 및 혁신교육지원센터 개설, 교육과정 다양화 및 특성화 지원, 학교급식 간 연계사업, 학교도서관 혁신, 학부모스터디 지원, 시민참여학교 운영 등을 펼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는 혁신교육지구 사업예산 50억3천만원 중 36억4천200만원, 도교육청은 13억8천800만원을 부담할 예정이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시 일각에서는 혁신교육지구 선정을 대대적으로 선전, 지자체 간 경쟁을 유발시켜 놓고 이제와서 도교육청이 혁신교육지구 사업비로 지자체 예산보다 낮은 27.6%를 분담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처사라며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시의 교육경비 총량은 시세수입의 11%인 78억원이 불과한 데 만약 혁신교육지구 사업을 위해 또 다시 상당액의 예산을 부담해야 할 경우 관련 조례까지 바꾸거나 사업을 포기해야 할 실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와 도교육청은 25일 사업비 분담률 등 실무 최종협상을 거쳐 이달 말이나 다음 달 초께 혁신교육지구 업무협약(MOU)을 체결할 것으로 알려졌다.
오산=정일형기자 ihjung@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