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온정수장 水公과 장기계약 변경 후 예산 절감 성과
광명시가 노온정수장을 한국수자원공사로부터 공급받는 원수 요금제 방식으로 바꿔 최근 1년간 8억7천여만원의 예산을 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시에 따르면 지난 2009년 12월 한국수자원공사와 원수 요금제 방식을 기존 단기계약(1년)에서 장기계약(5년)으로 변경한 결과 지난 해 1년간 8억6천600만원의 예산 절감 효과를 거뒀다.
시는 앞으로 4년 동안 원수 사용량 증가와 비례, 매년 8억원 이상의 예산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러한 성과는 맑은물사업소에서 노온정수장 운영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공공요금(원수비, 전력비)을 대상으로 2005년 이후 수돗물 사용량과 지역 내 신규아파트 입주 추세를 종합분석해서 내린 결과다.
시의 수돗물 사용량은 2009년까지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였지만 2009년 하반기부터 소하택지지구, KTX역세권 택지지구 등 신규아파트 입주가 증가하면서 수돗물 사용량도 점진적으로 증가했다.
맑은물사업소는 이러한 추세가 단기계약보다 장기계약 방식이 유리하다고 판단, 한국수자원공사와 원수공급계약 방식을 바꿨다.
시는 앞서 한전과 전기요금제도 계약방식을 변경, 월 1천만원(연간 1억2천만원)의 예산 절감 효과를 거둔 바 있다.
한편 일일 56만t 생산규모인 노온정수장은 지난 2009년 1월 인천시로부터 인수, 운영하고 있으며 광명시와 부천·시흥시 등 3개 시 26만8천여 가구(73만2천명)에 일일 23만여t의 수돗물을 생산·공급하고 있다.
광명=김병화기자 bhkim@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