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원내대표 ‘국회 정상화’ 협상 불발

민생특위 구성비율·구제역 사태 국정조사 견해차

민주당이 국회 등원 결정을 내리면서 여야 원내지도부가 2월 국회 등원 문제를 놓고 협상을 벌였으나 구제역 사태 관련 국정조사 수용 문제 등에 대한 의견을 좁히지 못하고 결렬됐다.

 

한나라당 김무성 원내대표, 이군현 수석 부대표와 민주당 박지원 원내대표, 박기춘 수석 부대표는 14일 오후 국회에서 여야 원내대표 4자회담을 가졌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민주당은 이날 의원총회를 통해 원내 등원 결정을 설명하면서, 민생문제 해결을 위한 특위 구성과 구제역 사태에 대한 국정조사 및 친수구역특별법을 포함한 5개 법안의 수정·폐기 등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한나라당은 민생특위 구성에는 동의하면서도 위원장과 특위 위원 구성 문제에 대해서는 민주당과 다른 견해를 나타낸 것으로 알려졌다.

 

한나라당은 특히 구제역 사태에 대한 야당의 국정조사 요구에 대해서는 사태 확산 방지와 해결이 우선이라는 점을 들어 2월 국회에서의 국정조사 요구에 난색을 표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원내대표는 회동 뒤 기자간담회에서 “한나라당은 171석이고 민주당은 86석인 만큼 특위도 교섭단체 비율대로 2대1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민주당 박기춘 원내수석부대표는 민생특위를 3대2대1로 여야 동수로 구성하자고 요구했다.

 

양당은 이날 5개 특위위원장의 경우 한나라당 3명, 민주당 2명으로 의견이 좁혀졌으나, 민주당은 민생·남북관계·정치개혁특위 위원장 중 하나를 자당에 배분할 것을 요구하면서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하지만 여야 모두 민생국회 필요성에는 공감하고 있는 만큼, 의견 조율을 계속해나갈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 안상수 대표는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에서 “민생 국회에 책임을 다하겠다면서도 등원에 조건을 거는 폐습이 사라지고 준법 국회를 지향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 대표는 이어 “2월 임시국회는 민생과 서민을 위한 서민국회”라며 “국민에 대한 책임과 도리를 다하는 책임국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반면 민주당 손학규 대표는 이날 의원총회에 참석해 “민생을 지키기 위해 국회에 들어가는 만큼 민생을 지키지 못하고 반민생법안을 막지 못하면 옥쇄를 각오해야 할 것”이라며 결연한 의지를 다지고 있다.

 

손 대표는 또 “국회가 열린 것을 틈타서 개헌 논의로 국민을 혼란에 빠뜨린다든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과 같은 반민생법안을 날치기로 통과시키려 하는 등 또 다시 국회를 유린하고 그것을 우리가 막지 못하면 ‘18대 국회는 더 이상 없다’는 자세로 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해인·김재민기자 hikang@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