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구제역 가축매몰에 따른 2차 오염 방지를 위해 2주마다 침출수를 뽑아 처리키로 했지만 상당수 매몰지에 침출수를 뽑을 유공관이 없거나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는 18일 대회의실에서 최홍철 행정1부지사 주재로 고양, 화성, 안성, 파주 등 구제역 발생 19개 시·군 부시장과 부군수와 '구제역 매몰지 사후관리 긴급회의'를 열었고 침출수를 뽑을 유공관 미설치 매몰지가 상당수에 이르는 데 따른 대책 등이 논의됐다.
최 부지사는 "다음주부터 침출수를 뽑아 처리해야 하는 데 유공관이 없거나 설치·보완이 요구되는 매몰지가 45%에 달하고 있다"며 "빠른 시일 내에 유공관은 설치하고, 대규모 매몰지에 대해서는 관측정을 추가로 설치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앞서 최 부지사는 "매몰지에 대한 사후관리를 부실하게 추진하면 해빙기와 우기 시 더 많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며 "도내 매몰지 관리는 수도권 시민들의 식수원의 오염문제와 직결될 수 있는 만큼 부시장·부군수 직을 걸고 책임감으로 해결해 나가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번 회의에서 도는 수도권 시민의 상수원인 한강수계 매몰지 137곳과 하천인접 및 경사지 등 취약 매몰지 145곳에 대한 특별관리하는 한편 매몰지 인근 지역민에 대한 페트병 수돗물 공급하기로 했다.
또한 부시장·부군수들은 매몰지 인근 해당 지역민들의 지하수 오염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며 도에 상수도 공급 계획의 빠른 추진을 요구했다.
이와 함께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의 매몰지 인근 지하수 수질 검사가 20일 이상 걸리고, 침출수 등에 의한 정확한 지하수 오염 실태가 아닌 음용 여부만을 발표해 지역민들이 불안감에 동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창규 이천부시장과 이철섭 안성부시장은 보건환경연구원이 지하수 음용가능 여부 뿐만 아니라 침출수 오염 여부에 대한 정확한 조사와 상수도 공급 대책을 요청했다.
이철섭 부시장은 "안성시 일죽면에 120곳의 매몰지가 집중돼 있어 지하수 이용 주민들이 극도로 불안해 하고 있다"며 "매몰지 500m 인근 상수도 비용이 시에서 산출한 액수는 532억원, 3㎞ 반경 비용은 818억원인데 환경부에서는 각각 313억원과 491억원으로 거의 배 이상 차이가 난다"고 지적했다.
김필경 양평부군수도 팔당상수원보호구역 16개 마을의 상수도 공급을 위해 126억원을 신청했지만 예산 확정이 지연돼 설계 착수도 어려운 실정이라고 밝혔다.
다른 시·군 부단체장들도 침출수에 의한 지하수 오염 불안 해소를 위해 상수도 공급의 빠른 추진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김태한 팔당수질개선본부장은 "현재 상수도 공급 국비지원 예산은 지난해 연말 분 202억만 확보된 상태"라며 "올해 예산 2천800억원은 22일 국무회의에서 결정되면 바로 지원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