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부, 독도 교육과정 만들어 시·도 교육청 시달… 내년부터 적용
교육과학기술부가 초·중·고교 학생들에게 체계적으로 독도 관련 교육을 하기 위한 ‘독도 교육과정’을 만들어 최근 전국 시·도교육청과 단위학교에 전달, 경기도교육청도 2012 학년도부터 적용키로 했다.
정부 차원에서 학교급별로 배워야 할 독도 교육과정을 직접 개발해 전국 단위학교에 보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3일 경기도교육청 등에 따르면 교육과학기술부는 지난달 28일 초·중·고교 학생들의 올바른 독도관을 정립하기 위해교육해야 할 내용을 담은 ‘독도교육 내용체계 안내 및 활용 협조 요청’ 공문을 전국 16개 시·도교육청과 학교에 시달했다.
‘독도교육 내용체계’는 초·중·고교 단계에서 배워야 할 독도 관련 내용을 교육목적, 목표, 학습내용 등으로 세분화해 제시해 놓은 것이다.
초등학교에 대해서는 학생들이 독도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독도의 자연환경과 지리적 특성, 역사·환경적 특성, 정치·군사·경제적 가치 등을 공부해야 한다는 기준이 제시됐다.
또 중학교는 독도가 역사·지리적, 국제법적으로 우리 영토라는 근거를 정확하고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독도역사와 관련된 지도, 문헌, 일본의 침탈 과정, 일본 주장의 허구성 등을 교육할 것을 제시했다.
이와 함께 고등학교는 학생들이 독도 수호 의지를 다질 수 있도록 독도 수호 활동 현황을 가르치고 학생들이 직접 관련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관련 내용을 안내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고등학교 단계에서는 독도를 둘러싼 한·일 갈등이 더 악화하지 않고 발전적 관계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학생들이 바람직한 영토관과 역사관과 관련한 내용도 교육하도록 했다.
아울러 교과부는 일선 학교가 정규수업(도덕·사회) 시간이나 창의적 체험활동 등의 특별 계기수업을 이용해 이같은 독도 관련 교육을 진행하고 관련 내용을 글짓기·퀴즈대회 등의 참고자료나 학교장 훈화 주제로 활용할 것을 요청했다.
이에 따라 도교육청은 이날 독도 관련 교육이 교과과정에 포함될 수 있도록 ‘2011학년도 경기도 초·중·고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을 개정, 고시했다.
교과부 관계자는 “독도 교육과 관련한 구체적인 지침이 없어 그동안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뤄지지 않아 구체적인 교육내용을 만든 것”이라며 “일선 학교들이 반드시 따라야한다는 강제성은 없지만, 정규 교육과정의 성격을 띠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달부터는 독도 관련 서술이 한층 강화된 한국사 교과서가 고교 단위에 보급되며 내년 발간될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도 독도 관련 기술이 더욱 풍부하게 담길 예정이다.
박수철기자 scp@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