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민원전철 365’ ‘찾아가는 도민안방’ 성과 “일자리 얻고 복지혜택” 신개념 행정서비스 호평
달려라 경기도 민원전철 365와 찾아가는 도민안방이 행정서비스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떠오르고 있다.
오는 8일 시행 100일째를 맞이한 도의 민원전철은 서동탄~성북 사이를 운행하는 1호선 전철의 중간차량 1량을 개조, 지난해 11월29일부터 선보인 신개념 행정서비스 시스템이다.
민원전철에는 경기도 공무원뿐 아니라 간호사, 일자리 상담사, 금융상담사 등 6명이 탑승, 하루에 4번씩 전철에 타는 시민에게 일자리, 복지, 생활민원, 건강, 금융상담을 해주고 있다.
이 결과, 그동안 민원전철은 지난 1일 현재 1만5천13건의 민원상담 실적을 보였다. 이중 가장 인기가 많았던 코너는 4천558건을 기록한 건강상담으로 집계됐고 판매 상담(3천975건), 민원서류 발급(1천990건), 생활민원(1천88건), 일자리 상담(975건) 등의 순이었다.
특히 40명의 민원인들은 상담을 통해 일자리를 얻기도 했다. 또 군포시 금정동에서 초등학생 딸과 어렵게 사는 김모씨(50)가 상담 후 3개월간 51만5천원의 긴급생계비를 받는 등 어려운 사정을 가진 7명의 도민들이 복지지원 혜택을 받았다.
이와 함께 민원전철에 앞서 지난해 8월2일 시작돼 지난달 17일 시행 200일을 넘긴 ‘찾아가는 도민안방’도 대형버스 3대를 민원실로 고쳐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8시까지 공무원들이 도민을 찾아다니며 5만1천357건(3월1일 현재)의 상담실적을 올렸다.
이같은 도의 찾아가는 행정서비스 제공에 대해 도민들의 시각은 호의적이다. 지난 1월 도청 홈페이지 ‘칭찬합시다’ 코너를 통해 이종득씨는 “별 기대도 하지 않고 민원을 제기했는데 추운날씨에 현장까지 찾아가 자료를 만들고 민원을 처리하는 모습에 놀랐다”며 “이런 공무원이 있어 우리 도민이 세금 내는 것을 아까워 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여기에 민원인의 상담 이후에도 전화통화나 담당 공무원의 방문 상담은 민원 A/S 서비스 체계를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안산시의 박모씨(78·여)는 2001년 사업체 부도로 국세 2천만원을 미납하면서 통장이 압류돼 월 9만원의 기초노령연금조차 받지 못했지만 민원전철 근무자가 비번을 이용, 직접 세무서에 동행해줘 기초노령연금을 받기도 했다.
한편 도는 7일 도청 상황실에서 김문수 경기지사와 도민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민원전철 365와 찾아가는 도민안방 성과보고회를 열고 앞으로의 발전방안을 논의한다. 김동식기자 dsk@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