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정상회담 추진 물밑접촉 활발… 합의점 못찾아

北 “정상회담 열려면 쌀달라”  南 “연평도 등 진정성 먼저…”

남북 정상회담 추진을 위한 물밑 접촉 움직임이 활발하게 벌어지고 있는 것이 감지되고 있다. 북한은 이 과정에서 우리 정부에 대북 쌀 지원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우리 정부는 비핵화 의지와 천안함·연평도 사건 등 한반도 평화구축에 대한 진정성 있는 입장표명이 선행돼야 한다고 요구해 합의점을 찾지 못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대북 소식통은 9일 “우리는 언제든 정상회담을 할 수 있다는 입장”이라며 “중장기적으로 한반도 평화를 구축하고 비핵화 의지를 확인하는 차원에서 정상회담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그러나 “북한이 진정성을 보이지 않고 있으며 우리측에 자꾸 쌀을 달라고 하고 있다”며 “하지만 북한의 의도대로 할 수는 없으며 북한이 정 진정성 없이 나온다면 이 정부 임기 동안 안 해도 괜찮다는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이 소식통은 “정상회담 한다고 쌀을 준다고 하면 국내에서 어떤 반응이 나오겠느냐”며 “먼저 천안함·연평도에 대한 책임 있는 조치에 동의하고 쌀 지원 문제를 논의하는 식의 순서 문제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는 북측이 남북 정상회담의 조건으로 대북 쌀지원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는 반면, 우리 정부는 천안함·연평도 사건에 대한 북측의 진정성 있는 태도 표명을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양측의 합의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남북정상회담과 관련, 지난 2009년 10월 하순 당시 임태희 노동부 장관과 김양건 통일전선부장은 싱가포르에서 비밀회동을 갖고 정상회담 추진문제를 논의했으나 북측이 대북 쌀 10만t 지원을 요구해 무산된 적이 있다.

 

현재 남북은 그동안 비밀접촉 창구로 활용돼온 박철수 조선대풍국제투자그룹(대풍그룹) 총재 라인을 배제하고 국내 정보기관-통전부 채널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소식통은 “북한도 남측 동향을 보고 있는 것 같다”면서도 “남측의 진짜 입장이 어떤 것인지, 누가 정상회담을 맡아서 하는지를 파악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 같은 남북정상회담 추진론에 대한 걸림돌은 대내외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게 대북 소식통의 분석이다.

 

우선 6자회담 재개 흐름과 이를 둘러싼 미·중의 움직임이 변수다.

 

청와대가 남북 정상회담 대가로 쌀을 지원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 북한의 ‘2012년 강성대국 원년’을 기념할 잔치용 쌀 지원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북한에) 2012년이 특별한 해 아니냐. ‘강성대국’의 대문에 들어가는 해라고 해놓았으니 보여줘야 할 정치적 수요가 있을 것”이라며 “그 잔치용 식량이 부족할 수 있어 이 때문에 외국으로부터 지원을 받기 위해 노력하고 그게 안 될 가능성에 대비해 국내 배급을 조절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식량 문제를 해결할 방법도 원조 말고는 없느냐는 의문이 든다”면서 “북한이 지역평화와 안정을 해치고 그런 능력은 키우면서 식량을 내놓으라고 하면 어렵지 않겠냐”고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강해인기자 hikang@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