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심재철 정책위의장(안양 동안을)은 10일 “공급자 위주의 통신요금 체계를 소비자 맞춤형으로 바꿔 스마트폰의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심 정책위의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에서 “스마트폰 요금 부담이 늘고 있고 가계지출 비중이 높다는 통계도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이어 “일부의 극소수 마니아가 다량 사용하는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 때문에 트래픽이 과다해져 통화 품질이 떨어진다”며 “무제한 요금제를 폐지해 양질의 통화 품질로 핸드폰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통신3사의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 사용자를 조사해보면 KT의 경우 1%의 극소수가 전체 사용량의 30%를, 10%의 사용자가 사용량의 93%프로를 차지하고 있다”며 “미국이나 일본의 경우에도 (무제한 요금제를) 폐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스마트폰은 요금은 동일한 횡적 체계인데 이는 잘못된 것”이라며 “음성을 많이 쓰지만 데이터는 안 쓰는 사람, 문자는 많이 쓰지만 음성은 안 쓰는 사람 등 사람마다 소비 패턴이 다르니 소비자 맞춤형 요금체계로 바꿔야 한다”고 촉구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