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경기 불황 장기화로 경기지역의 재건축·재개발 사업에 대한 건설사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사업 추진이 지연되면서 건설업체들의 수주난이 가중되고 있다.
7일 도내 건설업계에 따르면 올 들어 남양주, 구리, 하남, 과천 등 도내 일부 재건축·재개발 추진지역은 시공사 선정물량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내 각 지역 재개발 사업이 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 대립, 정비업체 선정과정에서의 잡음 등으로 대부분 지지부진하기 때문이다.
남양주 덕소뉴타운의 덕소2구역 재개발 추진단지는 최근 추진위원회 내부 갈등으로 사업추진에 애를 먹고 있다.
지난해 12월에 추진위 승인을 받은 이후 아직 정비업체와 설계업체를 선정하지 못했다.
따라서 아직 조합설립인가를 받기 위한 동의서 징구는 진행되지 않고 있다.
조합 관계자는 “추진위원회의 내부 갈등은 어느 정도 해소됐으며 조합설립인가를 받으려고 정비업체 선정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이 사업은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 453의15번지 일대에 아파트 846가구를 신축하는 것으로, 예상공사금액은 3천700억원으로 추정된다.
구리뉴타운 수택E구역 재개발 추진단지도 정비업체와 설계업체 선정과 관련해 잡음이 일면서 사업추진에 차질을 빚고 있다.
3년 넘게 이 사업지를 관리해 온 정비업체가 지명에서 빠지면서 이들이 반발하고 있다.
이 사업은 구리시 수택동 일대 2천400여가구를 신축하는 것으로, 예상공사금액은 4천억원이다.
하남시에서 올해 중 시공사 선정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하남B구역 재개발 추진단지도 현재 조합설립인가를 받기 위해 토지등 소유자들의 동의서를 걷고 있으나 현재 동의서 징구율은 50%에 불과하다.
도내 건설업체들은 이처럼 경기지역 도시정비사업이 속도를 내지 못하면서 시공사 선정물량도 줄어들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도내 한 건설업체 관계자는 “경기지역 재건축 사업 물량이 예상외로 많지 않아 올해 수주목표를 채울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며 “물량이 적다 보니 재건축 사업 수주를 위한 업체 간 경쟁도 과열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선호기자 lshgo@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