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세 이상 68%, 만성폐색성폐질환

최선의 예방 및 치료법은 ‘금연’

흡연율이 줄어들면 만성폐색성폐질환(COPD) 환자도 줄어들고 50세 이상 3명 중 2명이 COPD 환자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COPD는 만성폐쇄성폐질환으로 불렸지만 지난해 한국표준질병 및 사인분류가 개정되면서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2006~2010년 심사 결정자료를 분석한 결과 COPD 환자는 2006년 65만8000명에서 2010년 60만9000명으로 약 5만명이 줄었으며 연평균 1.8%씩 감소했다.

이는 흡연율이 줄어든 덕분으로 보인다.

 

보건복지부가 지난 1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06년 성인 흡연율은 24.6%에서 2010년 20.7%로 줄었다.

COPD 환자의 남녀 비율은 2010년 기준으로 남성 52.4%, 여성 47.6%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70대, 60대, 50대 순으로 많았으며 전체의 67.7%가 50세 이상이었다.

폐를 구성하는 기관지와 허파꽈리에 문제가 생기면 △폐기종 △만성기관지염 △기관지 천식이 생기기 쉽다. 이 중 폐기종과 만성기관지염을 아우를 수 있는 병명이 COPD이다. 

심평원은 “COPD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흡연”이라며 “흡연자가 금연을 해도 폐활량과 이미 파괴된 폐조직은 회복되지 않기 때문에 조기에 금연을 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만성폐쇄성폐질환,왜 무서운가

[동영상뉴스]세계사망원인 4위의 병 COPD 아시나요?

비뇨기과여의사, “환자의 편견 가장 힘들어”

건강에나쁜 습관, 못 고치는 까닭

“젖은아기 칭얼댈 때 먹이는 게 정답”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