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적률 상향… 건설업체 기대 고조

道 재건축·재개발 등 최대 28%p 용적률 확대

업계, 일반분양 물량 증가로 수주전 가열 예고

경기도가 도시 정비사업 용적률을 확대키로 하면서 도내 건설업체들의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

 

건설업체 간 수주경쟁이 치열해 지겠지만 일단 용적률 확대를 통해 사업성 개선 등이 예상되면서 건설업체들이 경기도 재건축 사업 진출에 적극 나설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30일 도내 건설업체 등에 따르면 경기도는 최근 도내 재건축·재개발 등 도시정비사업장 대해 최대 28%p까지 용적률을 높일 수 있는 ‘제1종 지구단위계획 수립지침’을 발표했다.

 

용적률이 오르면 일반분양 물량 증가 및 조합원 분담금 감소, 분양가 인하 등을 통해 사업성을 개선할 수 있기 때문에 업계의 수주전은 더욱 가열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관련 도내 건설업체들은 경기도의 용적률 상향조정 발표로 도내 재건축·재개발 등 도시정비사업의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반시설 비중을 현행 12%에서 10%로 낮추고 녹지공간 및 놀이터 등 기타 시설의 면적을 줄이고 더 많은 아파트를 지을 수 있다.

 

특히 업계는 경기도 발표 이후 과천과 광명, 안양, 성남 등 풀죽어 있던 주택정비조합들도 사업추진이 가속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실제 과천지역 한 재건축조합 등은 경기도 도시정비사업 확대발표 이후 긴급 대의원 회의를 열어, 시공사 선정 등 사업추진을 서두를 계획이다.

 

그러나 이 덕분에 도내 도시정비사업을 수주하기 위한 업계의 경쟁은 더욱 치열하게 전개될 수밖에 없을 전망이다.

 

서울 등 도시정비사업물량이 끊긴지 오래인데다 사업규모가 크고 입지조건이 우수한 경기도 내 사업물량이 속속 나올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도내 A건설사 관계자는 “업계 전체적으로도 안정적인 물량을 확보할 수 있는 부문은 해외(플랜트)를 제외하고는 도시정비가 유일하다”며 “이런 가운데서 용적률 상향조정이 이뤄지면 업체 간 수주전은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안양, 평촌, 과천을 비롯해 광명과 의정부 등이 도시정비 메카로 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경기도 도시정비사업 용적률 완화로 사업성이 올라갈 것으로 기대된다”며 “경기지역 재건축 사업 등에 뛰어드는 업체들이 늘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선호기자 lshgo@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