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옛 미군기지 오염 민관군 합동조사 첫날
민·관·군으로 구성된 합동조사단이 31일 오후 2시 화학물질 매립 의혹이 제기된 부천시 오정동 옛 미군기지 ‘캠프 머서’를 방문해 현장조사를 벌였다.
그러나 기초조사인 물리탐사 중 전자기파 탐사와 전기비저항탐사가 오전에 내린 비로 취소돼 빠르면 오는 2일께에나 재조사가 이뤄질 전망이다.
신석철 공동조사단장은 이날 “오늘 실시키로 했던 매립 예상지점 탐사는 비가 와 실시하지 못했다”며 “미군 측에 당시 부대현황 배치도 등 관련자료 제출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또 신 단장은 “미군 측이 자료제출 협조에 응하지 않을 경우 당시 항공촬영 자료를 토대로 조사에 들어갈 것”이라며 “2주일간 기초조사를 한 뒤 개황조사와 정밀조사에 들어가 4주 정도면 오염원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조사결과에 대한 혼선을 최소화하기 위해 농어촌공사에서 기초조사를 맡기로 했다”며 “국방부도 육안검사까지 가능하도록 최대한 협조하기로 한 만큼 국방부를 신뢰하고 최대한 빠른 시간 내 의혹이 해소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오전 비… 탐사 하루 미뤄
기초조사후 7일 대책회의
최종판독까지 4주 걸릴 듯
기초조사를 맡은 김을영 농어촌공사 환경복원팀 차장은 “군부대 정문부터 매립의혹이 있는 언덕까지 13만㎡ 부지에 대해 전자파 탐사 장비와 전기 비저항 탐사 장비를 투입해 매립 흔적을 찾아낼 것”이라며 “탐사기간은 1주일 정도 예상하며, 일기를 고려해 이르면 2일부터 탐사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이 관계자는 “탐사를 통해 매립 지역 범위를 최대한 축소하고 예상지역에 대한 굴착과 토양, 지하수 시료를 채취해 분석할 방침이다. 전자파 탐사와 전기비저항 탐사는 지하 10m에 매립된 물질을 파악할 수 있다”며 “탐사자료를 해석하는 시간도 필요해 4주 정도 후 조사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공동조사단은 군부대 관계자와 환경분야 전문가 등 국방부 측 7명과 시 공무원, 시의회 의원, 주민대표 등 시 측 6명을 포함해 13명으로 구성됐으며 6월7일 1차 기초조사 결과를 가지고 대책회의를 열기로 했다. 부천=김성훈·김종구기자 hightop@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