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에 무해하고 경제적인가가 관건
여름밤의 불청객,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하는 새로운 화학물질이 개발됐다.
사람을 무는 모기는 배란기 암컷으로 사람이 숨 쉴 때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감지하고 쫓아 가는데 이를 속여서 모기가 자연스럽게 달려들지 않게 만든다는 것이다.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리버사이드 캠퍼스 아나다산카 레이 박사는 3가지 종류의 모기를 대상으로 실험을 했다. 이들 모기는 가장 흔한 종류로 말라리아, 뎅기열같은 전염병을 사람에게 옮기는 매개체다.
연구진은 모기를 따돌리는 세 가지 방법을 썼다.
첫째는 이산화탄소와 비슷한 화학물질을 뿌려 모기를 속이는 것이고, 둘째는 모기가 이산화탄소를 감지하지 못하도록 감각을 무디게 하는 방법이었다. 마지막으로 사방에 이산화탄소를 많이 노출시켜 어디에 사람이 있는지 모기가 혼란스럽도록 만들었다.
이 3가지 방법 모두 모기를 퇴치하는데 좋은 방법이었지만 첫째 방법이 가장 현실적이고 가능한 방법이었다.
레이 박사는 “우리는 사람이 호흡할 때 내놓는 이산화탄소가 모기를 유혹하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그것을 막을 마땅한 방법을 찾지 못했다”며 “만약 이 물질이 사람 몸에 해가 없고 모든 사람이 쉽게 쓰도록 싼 값에 공급할 수 있다면 많은 목숨을 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매년 50만 명 이상이 모기가 옮기는 전염병 때문에 사망하고 있다.
영국 임페리얼대학교 니콜라이 윈비첼러 박사는 “전염병이 많은 나라와 지역에 폭넓게 보급할 수 있으면 엄청난 발견이라 할 만하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Nature)'에 소개되었으며 영국방송 BBC 등이 1일 보도했다.
[관련기사]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